'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1. 2011.11.22 :: 파택2
  2. 2011.11.22 :: 락 <Rock>
  3. 2011.11.22 :: 보사노바
  4. 2011.11.21 :: 댄스 춤
  5. 2011.11.21 :: 오래된 음악
  6. 2011.11.20 :: latin music 라틴음악
  7. 2011.11.19 :: 한국음악 사이트
  8. 2011.11.19 :: 브라스밴드
  9. 2011.11.18 :: ㅁㅇㅎ
  10. 2011.11.17 :: Abyale& Larry browne - J aime beaucoup paris on A shade of blue
카테고리 없음 2011. 11. 22. 21:55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22. 16:32

로큰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큰롤(rock 'n' roll)은 1940년대 말부터 1950년대 후반에 생겨 미국에서 발전된 음악 장르로,[1][2]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블루스컨트리재즈,[3] 가스펠[4]이 혼합된 형태이다. 로큰롤은 1930년대 컨트리와 1920년대 블루스 음반에서 토대를 이루었으나,[5] 1950년대까지는 로큰롤이라는 이름이 존재하지 않았다.[6][7] 애팔래치아 민요와 가스펠의 영향을 받은 재즈음악을 컨트리와 결합한 로커빌리는 초기의 로큰롤 양식이다.

"로큰롤(rock and roll)"이라는 말은 현재까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뜻이 있는데, 그 쓰임은 비슷하다.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American Heritage Dictionary)[8]과 메리엄 웹스터 사전(Merriam-Webster Dictionary)[9] 모두 로큰롤을 "록음악"의 동의어로 정의하고 있으나 올워드닷컴은 그 중 특히 1950년대의 록음악을 가리키고 있다. 워낙 광범위하여 록 음악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구별을 두기 위해 본 문서에서는 올워드닷컴의 정의를 사용하기로 한다.

1940년대 후반 ~ 1950년대 초반의 초기 로큰롤을 살펴보면 주로 피아노나 색소폰이 리드악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기타를 추가하거나 리드악기를 기타로 대체하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백비트가 두드러지는 부기우기 블루스 리듬을 기본으로 하며, 후기에는 스네어드럼이 거의 빠짐없이 포함되었다. 클래식 로큰롤에서는 일반적으로 두 대의 전기기타(리드기타와 리듬기타), 더블베이스(1950년대 중반 이후), 전기베이스기타, 드럼을 사용한다.

1960년대에 로큰롤은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전 세계를 사로잡은 로큰롤의 엄청난 인기는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프라이멀 스크림(Primal Scream)의 멤버 바비 길레스피(Bobby Gillespie)는 "척 베리(Chuck Berry)가 "Hail, hail, rock and roll, deliver me from the days of old"라는 곡을 들고 나왔는데, 정말 제목 그대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척 베리는 로큰롤을 통해 범세계적인 영혼 해방의 물꼬를 텄다."라고 회고하였다. 로큰롤은 단순한 음악양식을 넘어 영화나 텔레비전 등을 통해 라이프스타일과 패션, 사고방식, 언어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로큰롤은 다양한 하위장르를 만들어냈으나 초기의 백비트와 같은 특징을 가지지는 않는다. 현재는 이 하위장르들을 통칭 "록" 또는 "록음악"이라 부른다.

장르의 기원[편집]

로큰롤의 기원 전문가들과 음악학자들 사이에서 로큰롤의 기원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뜨겁다. 로큰롤의 발생지는 미국 남부지방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의 주요 로큰롤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지방이다. 이 지방에 살고 있던 유럽 이민자들과 아프리카 노예들의 두 토속적인 음악이 만나면서 로큰롤로 발전하게 되었다. 해방된 노예들과 그 자손들이 멤피스를 비롯하여 북으로는 뉴욕, 디트로이트, 시카고, 클리블랜드, 버팔로와 같은 도심으로 대거 이주하면서 전보다 더 많은 수의 흑인과 백인이 인접하여 살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서로의 음악을 접하며 패션 등을 모방하기 시작했다. 흑인과 백인의 음악이 혼합된 이 장르는 이른바 “문화적 충돌”에 앞장섰던 라디오방송국들을 통해 레코드판의 발달과 보급을 촉진하였고, 양 인종 모두가 다루던 재즈와 스윙 같은 음악들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1940~1950년대의 원조 로큰롤은 “레이스 뮤직(인종차별의 성격을 띰)”, “힐빌리 음악(후에 리듬 앤 블루스와 컨트리웨스턴 음악으로 불림)”이라 불렸다. 특히 영향을 준 장르는 재즈와 블루스, 부기우기, 컨트리, 포크, 가스펠이었다. 어떤 음악이 가장 중대한 영향을 끼쳤는가, 그리고 흑인 리듬 앤 블루스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한 이 새로운 음악이 백인 시장 또는 흑백의 새로운 복합장르세계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는가에 대해 전문가들은 견해를 달리 한다.

1930년대의 재즈에서 특히 스윙은 백인 청중들이 열광했던 첫 흑인음악으로, 도시적인 춤곡을 기반으로 한 스윙 밴드와 함께 블루스의 영향을 받은 컨트리 스윙 밴드가 인기를 끌었다. 1940년대에는 재즈 기반에 색소폰 등의 관악기 사용이 늘었고, 호소력 짙은 가사, 부기우기 비트 등도 눈에 띈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연료부족, 한정된 청중과 연주자들 등의 이유로 규모가 큰 밴드는 수입이 줄어 기타, 베이스기타, 드럼만을 사용하여 밴드의 규모를 축소하는 일이 많았다. 특히 서부 해안과 중서부 지역에서는 기타 리프와 독특한 비트, 호소력 있는 가사로 리듬 앤 블루스가 유행하면서 앞으로의 더 큰 발전 가능성을 예고했다. 또한 로큰롤에는 컨트리 부기와 일렉트릭 시카고 블루스의 특색들도 많이 발견된다.

전기기타와 앰프, 마이크, 45RPM 레코드가 활성화 된 직후 로큰롤은 기술력이 급변하는 시기를 맞이하였다. 음반산업 또한 변화를 겪었다. 대중의 입맛에 맞춘 아틀란틱, 선, 체스와 같은 독립레이블들이 늘어났고, 라디오에서도 이러한 레이블들의 음악을 자주 틀었다. 상대적으로 부유한 백인 청소년들이 이같은 음악을 들음으로써 로큰롤을 하나의 특정 장르로 정의, 발전을 이끌어냈다.





ㅔㅔㅔㅔㅔㅔㅔㅔㅔ

록 음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록 음악(영어: Rock music)은 1950년대 초 미국에서 생겨난 대중음악의 한 형식이다. 록은 대개 보컬전자기타, 그리고 강한 백비트(록음악 특유의 강한비트)로 구성되며, 백비트는 색소폰과 같은 여러 종류의 악기들에 의한 스타일이 일반적이다. 록 음악은 젊음의 기쁨을 찬양하거나 때로는 젊은층이 가진 욕구 불만을 표현하기도 한다.

명칭 및 정의[편집]

록은 1950년대 로큰롤(Rock and Roll)에서 비롯되었다. 록이라는 용어는 정의하기 애매하다. 이 단어는 때때로 여러 장르들이 모호하게 섞여있는 것, 이를테면 소울, 헤비메탈 심지어는 힙합을 포함하는 것까지,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넓게 보자면 로큰롤과 같은 의미를 지니며 좁게 보면 로큰롤과 다른 의미를 지닌다.)

특징[편집]

록 음악의 사운드는 전통적으로 전기기타를 중심으로 하며, 베이스 기타 그리고 드럼과 심벌이 포함된 드럼 킷을 사용한다. 피아노해몬드 오르간신시사이저와 같은 건반악기도 역시 자주 사용한다. 록 밴드는 일반적으로 보컬리스트, 리드 기타리스트, 리듬 기타리스트, 베이시스트, 드러머 등의 역할을 나누어 맡는 둘에서 다섯 정도의 멤버로 구성된다. 이 일반적인 형태는 버디 홀리가 고안해냈고 비틀즈가 확립했다. 록 음악은 전통적으로는 백비트가 있는 4/4 박자의 반복적인 리듬을 자주 사용한다. 록 음악은 스타일적으로 매우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복잡한 역사와 다른 장르의 요소의 잦은 유입 등의 이유로 록이란 무엇인가를 음악적으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힘들다.

역사[편집]

록음악은 처음 시작된 후 급속도로 퍼져나가 전 세계 젊은 세대의 문화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록음악이 195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생겼을 때는 로큰롤이라고 불렀는데, 기성 세대들은 로큰롤을 한 때의 유행으로 받아들여 무시하거나 사회에 대한 도전이라고 비난했다. (기성 세대는 이전에는 스탠다드 팝을 즐겼다.) 그렇지만 1960년대 중반, 로큰롤이 음악 형식의 하나로 자리잡으면서 폭넓은 관심을 끌었고, 1960년대 후반에는 록음악의 뿌리였던 블루스와 컨트리 음악에서 벗어나 간단히 록음악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이후 록음악은 음반사업뿐만 아니라 영화, 패션, 정치 풍조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음악과 결합하면서 오늘날까지 계속 발전해오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히피 무브먼트, 모드 사조, 비트 사조 등이 있다.

장르의 변천사[편집]

1940년대 재즈가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대중에 멀어졌다. 재즈의 쇠퇴와 록의 도래 사이의 과도기 시절인 1950년 대 초반에는 스탠다드 팝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대표적인 가수로서는 빙 크로스비프랭크 시나트라팻 분냇 킹 콜 등이 있었다. 미국 사회의 주류였던 백인 기성 세대들이 스탠다드 팝을 즐겼다면 비주류 계층인 흑인들은 블루스 음악을 즐겼으며 농촌의 백인들은 컨트리 송을 즐겼다. 블루스 음악은 스윙 재즈의 영향을 받아 곧 리듬 앤 블루스로 진화했다. 그리고 컨트리 송은 여러가지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었다. 한국의 리듬 앤 블루스 음악과는 달리 보통의 리듬 앤 블루스는 초기 로큰롤의 형태이다. 로큰롤은 점점 인기를 백인 청소년에게 많은 인기를 끌게 되었는데 가수는 주로 흑인이었다. 대표적으로 척 베리와 리틀 리차드가 있었다. 이에 음반 제작자들은 틈새 시장을 노리고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흑인의 음색을 낼 수 있는 백인 가수를 찾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숨겨진 리듬 앤 블루스 명곡을 백인이 커버를 하면 무조건 성공한다는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인들이 가수로 등장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엘비스 프레슬리와 제리 리 루이스, 빌 헤일리, 버디 홀리 등이 있었다. 이들의 장르를 로커빌리 라고 하는데 이것은 로큰롤과 컨트리 송의 진화 형태인 힐빌리를 합친 말이다. 이런 음악들은 미국 주류 사회를 뒤흔들었다. 그리고 영국으로 건너가 리버풀 등 항구 도시에서 유행을 하게 되었다. 로큰롤은 재즈와 결합하여 스키플 사운드를 만들어냈는데 대표적으로 비틀즈가 있었다. 주류가 로큰롤을 하였다면 언더그라운드 비주류는 블루스와 재즈 음악을 하였다. 기존의 블루스 음악은 미국에서 탄생했는데 처음에는 통기타와 하모니카 등으로 이뤄진 컨트리 블루스와 델타 블루스 등이 있었다. 곧 미국이 발전을 하게 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블루스에도 전기 악기가 접목되어 일렉트릭 블루스가 되었는데 특히 시카고에서 인기를 끌어 시카고 블루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런 음악은 로큰롤이 도래하기 이전 영국으로 전해져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백인)들은 브리티시 블루스를 만들어냈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알렉시스 코너와 존 메이올이 있었다. 로큰롤을 하지 않았던 영국 가수 중 클리프 리차드는 미국 공연을 시도했으나 실패를 하고 말았다. 비틀즈가 그 다음 공격을 하여 성공을 했는데 이를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고 한다. 뒤이어 애니멀스, 데이브 클락 5, 무디 블루스 등이 진출을 하였다. 이런 가수들은 모드 사조를 이끌었는데 이것은 프랑스의 누벨바그 사조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이런 음악 이외에도 브리티시 블루스를 하던 사람들도 미국 진출을 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가수가 롤링스톤즈였다. 당시 미국 사회는 베트남 전쟁으로 혼란스러웠는데 기성 세대에 반발한 젊은이들이 비트 사조에 빠져들었고 곧 히피 무브먼트로 진화하였다. 이들은 마약을 하였는데 음악적으로도 영향을 받아 사이키델릭 록이 등장하였다. 사이키델릭 록과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정치적인 언급을 하는 포크 송도 등장하였다. 대표적으로 피트 시거와 밥 딜런, 조안 바에즈 등이 있었다. 한편 이런 식으로 미국식 사이키델릭 록이 마냥 외쳐대는 밴드였다면 영국식 사이키델릭 록은 예술적, 음악적인 실험을 많이 하게 되었다. 비틀즈의 영향을 받은 밥 딜런이 포크 송과 로큰롤 사운드를 절묘하게 결합시킨 포크 록을 만들어냈다. 영국식 사이키델릭 록의 발전으로 곧 프로그레시브 록이 등장하게 되었고 브리티시 블루스의 영향으로 블루스 록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루스 록을 하던 밴드였던 크림은 하드 록을 만들어내게 되었고 지미 헨드릭스는 사이키델릭 사운드와 결합시켜 하드 록을 더욱 발전시켰다. 록 음악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흑인 음악의 영향도 중요하다.

비화[편집]

관습적으로 지락이 악마의 음악이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락의 시초는 블루스이며 1930년대 로버트존슨이 개발한 리듬이 시초가 된다.하지만 로버트존슨이 약혼녀에게 독살 당하고 그가 개발한 리듬은 묻혀 있다가 그에게 영향을 받은 50년대 척베리 같은 블루스 뮤지션들이 그의 리듬을 발전시켜 락앤롤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다.동시대의 엘비스프레슬리, 제리리루이스 같은 락앤롤 뮤지션들의 노래는 젊은 이들을 크게 열광시킨다.이것은 당시의 기성 세대들에겐 큰 충격이었다.이것이 락음악의 태동기의 모습이며 여기에 락이 '악마의 음악'이라는 오명을 얻게된 이유가 숨어 있다.

원래 락 이전에 블루스가 악마의 음악으로 불리었다.그 이유는 흑인들의 음악이었기 때문이다.그 시대에 흑인들에 대한 차별은 상상을 불허하여 그들이 하는 모든것은 매도되기 일수였다.음악도 그 굴레에서 벗어날수 없어 블루스는 '악마의 음악'이라고 매도되었다.재즈는 그래도 어느정도 즐기는 백인들이 적잖게 있었지만 흑인들의 한이 담긴 블루스를 즐기고 연주하는 백인들은 찾기 힘들었다.여담으로 위에 소개한 로버트 존슨의 일화중 미시시피 십자로에서 악마를 만나 음악을 배웠다는 전설이 있다.이렇게 와전된 전설 역시 블루스가 악마의 음악으로 불리는데 짭잘한 역할을 했다.

그런데 이런 블루스에서 발전한 락앤롤을 백인들이 공연장에서 엉덩이를 흔들어 대면 부르자 젊은이들은 지금까지 볼수 없었던 열광을 한다.클래식,재즈,스탠다드 팝등 기존의 음악에서 젊은이들의 이런 열광은 없었으며 애초에 음악을 듣는데 이렇게 미친듯이 소리지르는 것은 금기였다.당연히 기성세대들에겐 젊은이들이 미친것으로 보였을 것이다.이젠 공격 대상이 바뀌었다.락앤롤은 젊은이들을 악마의 유혹에 빠뜨리는 주적이 된것이다.그 중심엔 기독교가 있었다.1950년대 락앤롤 뮤지션인 제리리루이스의 실화를 다룬 영화 great balls of fire을 보면 기독교가 락앤롤을 얼마나 매도하였는지 어느정도 감을 잡을수 있다.제리는 마지막에 이런 말을 했다."락앤롤이 악마의 음악이라면 나는 지옥에서도 피아노를 치겠다."

이것이 초기 락앤롤이 매도당하던 이유이다.또한 관습적으로 락은 악마의 음악이라고 불리던 이유이기도 하다.하지만 시간이 흘러 흑인에 대한 차별도 많이 줄고 젊은이들의 열광도 이젠 익숙해져가는데 락에 대한 매도가 끊이지 않았던것은 갈수록 퇴폐적인 성향이 짙어졌기 때문이다.

1960년대 전설적인 락앤롤 밴드 비틀즈는 발라드 명곡 YESTERDAY를 발표해서 기성세대에게도 락앤롤을 한다고 다 천덕꾸러기는 아니라는 인상을 심어준다.하지만 악동으로 유명한 롤링스톤즈는 온갖 성적인 발언과 추악한 행동을 해서 기성세대들에게 '역시, 그럼 그렇지'라는 인상도 심어준다.1960년대 후반 싸이키델릭이 성행한다.싸이키델릭의 음악 성향상 마약의 복용은 흔하게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락은 정말 심각할정도로 퇴폐적인 모습을 보인다.잘 알고 있던 지미헨드릭스,제니스 조플린등이 이런 약물에 의해 사망을 한다.또한 저항을 상징하는 포크 뮤지션들은 사람들을 이끌고 다닌다.그리고 사회에 대한 저항만을 하면 좋은데 폭력적이고 성적인 문제도 자주 일으켰다.

당시에 유행하던 싸이키델릭, 포크등에 의해 히피문화가 발전하고 약물,퇴폐성,폭령성등의 어두운 부분이 극에 다다른다.이것은 굳히기 였다.그래도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락에 대한 인식이 조금 나아질까 하다가 완전히 한방 먹은것이다.

어쨌든 락은 대중음악중 가장 많은 사람이 즐기는 음악이다.사람이 많은 만큼 이런 저런 사람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사고도 자주 발생한다.그래서 아직도 락에 대한 인식을 안좋게 갖는 사람이 많다.그래도 서양에서는 지금 기성세대 대다수가 락을 좋아하던 세대인지라 덜하지만 대한민국은 그렇지 않다.

대략적인 이유는 락 뮤지션들중에 기독교 욕하는 사람도 많고 존 레논은 비틀즈가 예수보다 위대하다고도 하는 등 자잘한 이유도 많다.

하지만 큰 맥락은 락의 태동기에 흑인들에 대한 차별과,그에 따라 락에 대한 동반 차별,젊은 세대들의 이례적인 열광이 락에 대한 오명의 시초가 되었고 히피문화의 발달로 퇴폐성이 짙어진 것이 오명의 굳히기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B%A1%9D_%EC%9D%8C%EC%95%85


http://en.wikipedia.org/wiki/Rock_music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22. 10:05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21. 18:16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21. 15:41
레코드판 

http://www.ebay.com/sch/i.html?_nkw=Old+Record+Album 


LP RECORD   , RPM   [1분당 회전속도 ]  

http://www.youtube.com/watch?v=f21EGiVfs5o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20. 20:41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19. 20:07


   신나라 - 92년꺼부터 있음


신나라 [신나라차트,한터차트,kbs 뮤직뱅크,음반산업협회,m.net,sbs인기가요,kmtv,한국어협회,tvn이뉴스,kt 뮤직,문화일보,엠카운트다운,차트코리아,에 제공/ 반영]

http://www.synnara.co.kr/sp/sp120Main?categoryId=&productId=P000226329#.UdTcTb6we70


인터파크 [매시 5분 한터반영]

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400000&sc.prdNo=212737634

 

예스24 [매시 정각 한터반영]

http://www.yes24.com/24/goods/9196146?scode=032&OzSrank=6

 

핫트랙스 [한터/가온/뮤뱅차트에 반영]

http://www.hottracks.co.kr/ht/record/detail/8804775050169

 

교보문고 [한터/가온.뮤뱅차트에 반영]

http://music.kyobobook.co.kr/ht/record/detail/8804775050169

 

알라딘 [음반산업협회와 한터반영]

http://music.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4775050168

 

리스뮤직 [한터/가온 반영]

http://www.leesmusic.co.kr/lees/mall.php?cat=002001002&query=view&no=48445


애플뮤직 [한터/가온 반영]

http://www.applemusic.co.kr/mart7/mall.php?cat=001001002&query=view&no=80681

 

 

11번가 [한터/음반산업협회 반영]

http://book.11st.co.kr/Goods.do?cmd=detail&&dispCtgNo=002030002000000000&dispCrnNo=LIST_CRN_21&plnDispNo=&pgUnqNo=030&gdsNo=M0000001960416

 

반디앤루니스 [매시 정각 한터차트에 반영]

http://www.bandinlunis.com/front/product/detailProduct.do?prodId=7399104

 

쿨트랙[한터차트/한국음악산업협회에 실시간 반영]

http://www.cooltrack.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55781&category=001013




----------------------

 


http://k-pop.or.kr/search/search_info_18.jsppagenum=1788&keyword2= 


http://lp25.com/

http://www.lpcafe.co.kr 

http://www.lptown.com/

www.lpgallery.co.kr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19. 11:27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18. 02:43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1. 11. 17. 23:13


posted by 人心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