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1&docId=59394136&qb=6riA7J2YIOyghOqwnOuwqeyLnQ==&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hIAQloi5UKssZtyRJVsss--035103&sid=TY6iA6Bwjk0AAC8ZIpU
글의 전개방식
이 2가지를 나는 썼고 논증에 대한 내용을 추가한다
3. 배열방식.
① 시간적 전개 :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제재를 배열하는 방법.
② 공간적 전개 : 제재의 놓인 순서에 따라, 장소의 이동에 따라 제제를 배열하는 방법.
③ 열거식 전개 : 대등한 자격의 제재를 나란히 배열하는 방법.
④ 점층적 전개 : 중요성의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법.
---------------------- 진술방식과 전개방식의 차이점이 먼가여? 간략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
''진술방식''이라는 것은 글을 쓰는 목적에 따라, 글 전체를 어떻게 써 나가야 할 것인가를 결정해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체적으로 싸가지(네가지)가 있습니다. ^^
ㄱ.설명 - 쉽죠? 설명하는 방식으로 글을 쓴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설명문과 같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들이 이 같은 방식을 쓰겠죠? ^^
ㄴ.논증 - 주장에 대해 증명을 해 나가는 글에 어울리겠죠? 눈치도 빠르시지!! 그렇죠~ 논설문과 같이 의견이나 주장을 증명하는 방식의 글에 씁니다.
ㄷ.서사 - 이 놈은 말은 어려운데, 간단히 정리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야기 구조''라고 합니다. 보통은 '소설'에서 잘 나타나죠. 인물의 행동을 통해서 보여 주기, 시간적 배경의 나열, 사건의 진행 등으로 이 '서사'라는 놈은 나타납니다.
ㅁ.묘사 - 친구가 어제 '비'의 콘서트 다녀온 이야기를 합니다. 그럼 비가 가장 중심 소재가 되겠죠. 머리 모양부터 발끝까지, 열정적인 춤과 노래 등을 마치 말로 그림을 그리듯 상세히 설명을 해주죠? 그럼 듣는 사람은 머릿속에 듣고 있는 것을 그려봅니다. 바로 이것!!! 이 묘사입니다. 쉽죠? ^^
''전개방식" 이 건 시간 관계상 더 간단히 설명할게요.
주제를 정하고 글을 써 나갈 때 글 안에서 이야기 할 많은 내용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 갑니다. 이 때 쓰는 것이 '글의 전개 방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다른 곳에서 빌려 온 자료입니다. ^^
(동태적 범주) -서사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진행을 중시하는 전개방법
-인과 : 일어난 일의 원인과 결과를 엮어서 밝히는 전개방법
-과정 : 어떤 일의 절차와 순서를 밝히는 전개방법
(정태적 범주) -논리 : 정태적 범주에 따로 <논리>라고 설정하지는 않습니다. <인과>와 같은 방법이 논리에 해당하는 것 같은데요?
-정의 : 개념의 내용, 성격 등을 엄밀하게 제한해서 규정하는 진술방식
-지정,확인 : “○○는 무엇이다” 하는 물음에 답하는 것과 같은 진술방식
-비교,대조 : 비교는 비슷함을 전제로 어떻게 같은가를 찾는 것이고, 대조는 서로 다름을 전제로 어떻게 다른가를 찾음
-분류(구분) : 동일한 기준에 의해 어떤 생각이나 대상을 구분 짓는 방법
-분석 : 사실이나 사물을 부분으로 나누어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는 방법
-묘사 : 어떤 대상을 눈에 보이듯이 그려내는 전개 방법
-예시 :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