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3. 4. 25. 00:05


 op 가 뭔가요? 


op.10 , op.25

를 영어로 읽을때엔

opus ten, opus twenty five (오퍼스 텐, 오퍼스 트웬티 파이브)

혹은   opus number ten, opus number twenty five

(오퍼스 넘버 텐, 오퍼스 넘버 트웬티 파이브)

 

우리말로 읽을때엔

 

"작품번호" 라고 읽습니다.

작품번호 10번, 작품번호 25번

 

이렇게 됩니다.

 

그리고 그 밑의 하위번호는

가령 혁명 연습곡을 예로 들자면

Op.10 no.12   오퍼스 텐 넘버 트웰브   opus ten number twelve

우리말로는

작품번호 10의 12(번)

이렇게 통상적으로 말합니다.


----------------


fantasy라고도 불리는 환상곡 fantasia 


fantasy라도도 불리우는 환상곡 fantasia는 형식의 구애없이 떠오르는 대로 자유로이 작곡한 음악입니다.

모짜르트의 '피아노용 환상곡 D단조', 베토벤의 '피아노용 환상곡, 작품 77' 등이 있습니다.

자유형식의 소나타로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월광', 슈만의 '환상곡, 작품 17' 등이 있습니다.

 

-------------



클래식 곡 뒤에 붙은 음 이름과 단조는

아무렇게나 붙이는 것이 아니라

 

그 클래식 곡이

그 음의 그 조로 쓰였다고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좋아하는

쇼팽 야상곡 E♭Major 는

플랫의 장조로 쓰여진 곡 입니다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단조는

E 의 단조로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이라는 뜻입니다





----------


fantasy in e flat major , Wq , 58/6 , H.267 (arr. for harp)




  플랫이란 , 메이저 마이너란 , wq ,란 58/6   H.267



작곡가별 작품번호 (Opus Number) 고유 표기법

AFrantišek Xaver Dušek 의 작품을 Altner 가 정리
AV"Allroggen Verzeichnis" 의 약자로 E.T.A. Hoffman 의 작품을 Gerhard Allroggen 이 정리
AV"Asow Verzeichnis" 의 약자로 Richard Strauss 의 작품을 Mueller von Asow 가 정리
BAntonín Dvořák 의 작품을 Jamil Burghauser 가 정리
BLeopold Hofmann 의 작품을 Badley 가 정리
BBBéla Bartók 의 작품을 Laszlo Somfai 가 정리
BeRIJohann Helmich Roman 의 작품을 Bengtsson 이 정리
BIFrédéric François Chopin 의 작품을 Maurice J.E. Brown 이 정리
BuxWV"Buxtehude-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Dietrich Buxtehude 의 작품을 Karstadt 가 정리
BWV"Bach-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J.S. Bach 의 작품을 Wolfgang Schmieder 가 1950년 정리,출판. (S.로 쓰기도 함, 볼프강 슈미더는 쾨헬목록을 출판하기도 한 유서깊은 음악출판사인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의 자료부장이었음)
CGiovanni Gabrieli 의 작품을 Charteris 가 정리
DFranz Schubert 의 작품을 Deutsch 가 정리
DGuiseppe Tartini 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을 Dounias 가 정리
DFC.E.F. Weyse 의 작품을 D. Fog 가 정리
deest라틴어 "deesse" (없음) 에서 온 말. 정규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작품의 경우 쓰임. 정규목록 발표 후 추가발견된 작품의 경우 주로 씀.
ELeopold Mozart 의 교향곡 작품을 Eisen 이 정리
FAntonio Vivaldi 의 작품을 Fannae 가 정리
FW.F. Bach 의 작품을 Falck 가 정리
FSCarl Nielsen 의 작품을 Fog & Schousboe 가 정리
GLuigi Boccherini 의 작품을 Gérard 가 정리
GGiuseppe Torelli 의 작품을 Giegling 이 정리
GGiovanni Battista Viotti 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을 Giazotto 가 정리
GPSir Arnold Bax 의 작품을 Graham Parlett 가 정리
HC.P.E. Bach 의 작품을 Helm 이 정리
HLudwig van Beethoven 의 작품들 중 출판되지 않은 것들을 Hess 가 정리. Kinsky & Halm에 의한 목록도 있으므로 통상 Kinsky & Halm 이 취합하지 않은 작품에만 붙임.
HMarc-Antoine Charpentier 의 작품을 Hitchcock 가 정리
HGustav Holst 의 작품을 딸인 Imogene Holst 가 정리
HJohn Field 의 작품을 Hopkinson 이 정리
HLeo Sowerby 의 작품을 Ronald M. Huntington 이 연대기 순으로 정리
HBohuslav Martinů 의 작품을 Harry Halbreich 가 정리
HobF.J. Haydn 의 작품을 Hoboken 이 정리
HWJ.C.F. Bach 의 작품을 H. Wohlforth 가 정리
HWV"Handel-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G.F. Handel 의 작품을 Bäselt 가 정리
JC.M. von Weber 의 작품을 Jähns 가 정리
JCG.B. Sammartini 의 작품을 Jenkins & Churgin 이 정리
KKarl Ditters von Dittersdorf 의 작품을 Kremsmünster 가 정리
KW.A. Mozart 의 작품을 Köchel  이 정리 ("KV"라고도 씀)
KFrancesco Antonio Rosetti (Rössler) 의 작품을 Kaul 이 정리
K or KkDomenico Scarlatti 의 작품들 중 건반악기 작품만을 Kirkpatrick 이 정리
KV"Köchel-Verzeichnis" 의 약자로 W.A. Mozart 의 작품을 Köchel 이 정리
LDomenico Scarlatti 의 작품들 중 건반악기 작품만을 Longo 가 정리
LClaude Debussy 의 작품을 Lesuré 가 정리
LWV"Lully-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Jean-Baptiste Lully 의 작품을 Schneider 가 정리
M"Meta" 의 약자로 Vagn Holmboe 의 작품을 Paul Rapoport 가 정리
MAntonio Vivaldi 의 작품을 Malipiero 가 정리 ("R"로도 쓰임)
MIgnaz von Beeke 의 작품을 F. Munter 가 정리
MFrancesco Antonio Rosetti 의 작품을 Murray 가 정리
MSJohann Melchior Molter 의 작품을 Hafner 가 정리
MWV"Molter-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Johann Melchior Molter 의 작품을 Hafner 가 정리
OpOpus number. 통상 발표연대, 출판연대 또는 작곡연대에 따름. 작곡자 또는 출판자가 정리.
PJ.M. Haydn 의 작품을 Perger 가 정리
POttorino Respighi 의 작품을 Pedarra 가 정리
PAntonio Vivaldi 의 작품을 Pincherle 이 정리
PLeopold Jan Antonín Kozeluh 의 작품을 Poštolka 가 정리
RAntonio Vivaldi 의 작품을 Malipiero 가 정리, Ricordi 가 출판
RGottlieb Muffat 의 작품을 Riedl 이 정리
RAdelbert Gyrowetz 의 작품을 Rice 가 정리
ROLouis Moreau Gottschalk 의 작품을 Offergeld 가 정리
RVAntonio Vivaldi 의 작품을 Ryom 이 정리
SJ.S. Bach 의 작품을 Schmieder 가 정리 ("BWV"로도 씀)
SFranz Liszt 의 작품을 Humphrey Searle 가 정리
SJohann David Heinichen 의 작품을 Siebel 이 정리
SLeopold Sylvius Weiss 의 작품을 Smith 가 정리
SRPadre Antonio Soler 의 작품을 Padre Samuel Rubio 가 정리
SzBéla Bartók 의 작품을 Szöllösy 가 정리
SWV"Schutz-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Heinrich Schütz 의 작품을 Bittinger 가 정리
TFVRichard Strauss 의 작품을 Franz Trenner 가 정리
TWV"Telemann-Werke-Verzeichnis"의 약자로 Georg Phillip Telemann 의 작품을 Kassel 이 정리
VB"Systematisch-thematisches Werkverzeichnis" 의 뜻으로 Johann Kraus 의 작품을 Bertil H. van Boer, Jr. 가 정리
VB"Valentini Bakfark Opera Omnia" 의 약자로 Balint Bakfark 의 작품을 Homolya and Benko 가 정리
WoO"Werk ohne Opuszahl" 의 약자로 "작품번호 없음" 의 뜻. 보통 출판되지 않았거나 작곡자가 번호를 붙이지 않은 작품의 경우 쓰임
WqC.P.E. Bach 의 작품을 Wotquenne 가 정리
WV"Wagenseil-Verzeichnis" 의 약자로 Georg Christoph Wagenseil 의 작품을 Schölz-Michelitsch 가 정리
WWV"Wagner-Werke-Verzeichnis" 의 약자로 Richard Wagner 의 작품을 Deatheridge, Geck & Voss 가 정리
ZHenry Purcell 의 작품을 Zimmerman 이 정리
ZVaclav Pichl 의 작품을 Anita Zakin 이 정리

 

모든 작곡가가 여기 다 있지는 않습니다. 여기 없는 작곡가는 보통 Op. 를 사용한다고 봐도 좋을 것입니다.







첼로 :

http://ko.wikipedia.org/wiki/%EC%B2%BC%EB%A1%9C

 

유명 첼리스트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05

파블로 카살스

피에르 푸르니에

야노스 슈타커

다니엘 샤프란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자클린 뒤 프레

미샤 마이스키

장한나

 

유명한 첼로곡 :

7대 첼로협주곡 -

하이든의 제2번 D장조, 슈만 첼로협주곡 A단조, 드보르작의 첼로협주곡 B단조(3대 첼로 협주곡)

보케리니 첼로협주곡 B장조, 랄로 첼로협주곡 D단조, 생상 첼로협주곡 A단조,  엘가 첼로협주곡 E단조(7대 첼로 협주곡)

바흐 - 무반주 첼로소나타

 

 

비발디 - 첼로협주곡 A단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06

 

하이든 - 첼로 협주곡 1번 C 장조 (Hob. VII B1)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07

 

보케리니 - 첼로협주곡 B플랫장조(Cello Concerto No.9 in B flat major, G.482)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14

 

슈만 - 첼로 협주곡 A단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15

 

랄로 - 첼로협주곡 D단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17

 

생상 - 첼로협주곡 A단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18

 

드보르작 - 첼로협주곡 B단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19

 

엘가 - 첼로협주곡 E단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20

 

차이코프스키 - 로코로 주제에 의한 변주곡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21

 

베토벤 - 첼로소나타 3번 A장조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322

 

 

 

악곡의 구성, 악곡의 종류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2648

 

클래식음악의 작품번호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131

 

음악의 연주형태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5980951

 

소나타와 협주곡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5980952

 

악기의 구성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298496

 

오케스트라 정보 :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573

 


-------


http://blog.naver.com/ani19kho/90106517392


쌩초보 음악이론



////////

http://blog.naver.com/ljheosao/130100325430







au village [quasi fantasia] [ in the village] [ arr. B . Morgensen]




quasi fantasia Sonatine 


 quasi ~풍의 환상곡풍의 


 quasi fantasia 환상곡풍의 


 quasi fantasia sonata 환상곡풍의 소나타 


  2 Russian Themes  


  theme은 주제라는 뜻도 가지고 있음 


 2개의 러시아 주제 


  fantasy on 2 russian themes


    2개의 러시앙 주제에 대해서  즉흥곡 

 




au village [quasi fantasia] [ in the village] [ arr. B . Morgensen]




quasi fantasia Sonatine 


 quasi ~풍의 환상곡풍의 


 quasi fantasia 환상곡풍의 


 quasi fantasia sonata 환상곡풍의 소나타 


  2 Russian Themes  


  theme은 주제라는 뜻도 가지고 있음 


 2개의 러시아 주제 


  fantasy on 2 russian themes


    2개의 러시앙 주제에 대해서  즉흥곡 

 




Traditional  전통 , 



 Ei Ukhnem [ 러시아 민요 , 볼가강의 뱃노래]



소나타란 "기악을 위한 독주곡 또는 실내악으로, 매우 규모가 큰 몇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진지한 내용과 절대음악적인 구성을 가진다"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소나타형식은 제시부,발전부,제현부로 나뉘구여.. 

제시부는 성격이 다른 두개의 주제가 제시되는 부분이구요, 

발전부는 제시부에 제시된 주제를 동기적으로 발전하는 부분입니다. 

재현부는 제시부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지만 주제의 조성이 달라지고, 끝부분에 소나타 형식을 끝맺는 coda가 따릅니다...
이 소나타 형식이 흔히 소나타,교향곡,협주곡의 1악장에 쓰입니다..

즉 소나타안에 소나타 형식이 있는거져......



-----




 기악곡 성악곡 



 

실내악



allegro


 ㄴ  


] 음악에서 악곡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나타냄말. [본문] '빠르게'란 뜻으



grave(very slow) 아주 느리게



안단티노 [andantino] 


음악에서 악곡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나타냄말. [본문] ‘안단테보다 조금 빠르게’의 뜻이다


00


안단테 [andante] 


음악에서 악곡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나타냄말. [본문] 원말은 이탈리아어 andare(걷다)의 현재분사이며, ‘걸음걸이 빠르기로’의 뜻으로 ‘느리게’를 나타낸다.



프레스토 [presto]


음악에서 빠르기를 지시하는 나타냄말. [본문] ‘매우 빠르게’의 뜻이다. 절대적인 빠르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알레그로나 비바체보다 더 빠른 속도를 말하며




  lyricist 작사가





 serenata



 세레나데의 이탈리어명칭


 저녁 음악이라는 뜻으로, 밤에 연인의 집 창가에서 부르거나 연주하던 사랑의 노래. 18세기 말에 이르러 짧은 길이로 된 기악 모음곡 형태로 발달하였다. [비슷한 말] 소야곡ㆍ야곡1(夜曲).





--------


scordame


serse xerxes 크세르크세스  HWV [헨델의 약자]  40 



Ombra Mai Fu'는 '정겨운 나무 그늘이여' 라는 뜻.

Händel (1685-1759) 작곡의 opera, 'Xerxes'(SERSE) 중 첫번째 막에 나오는 아리아(aria)입니다.

주인공 '세르세'왕 이 정원 앞 플라타너스 나무의 풍요로운 그늘을 예찬하며 부르는 노래입니다.

아름답고 숭고한 느낌의 이 아리아는 독립적으로 기악(첼로)으로도 편곡, 연주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에게 'Largo' 라는 제목으로 널리 익숙해져 있습니다.

 


-------



http://blog.daum.net/johnkchung/1190311






 la juive , act IV : Rachel , quand du seigneur


Halevy, Fromental 


 composer 알레비 [ 1799 - 1862] 


   

   유태 여인 


  타이틀 : la juive (the jewish girl , the jewess ) 




 전4막. 유명한 유제느 스크라이브(Eugene Scribe)가 대본을 썼다. 유태 여인은 엘리아제의 딸 라헬을 말함.

주요배역: 엘리아자(유태인 금세공업자), 라헬(엘리아자의 딸), 사무엘(레오폴드 왕자), 드 브로니(추기경, 콘스탄스 종교회 의장), 유도시에(황제의 조카딸, 공주), 루지에로(콘스탄스시 교구신부)

음악적 하이라이트: 엘레아자의 아리아

베스트 아리아: Si la rigueur et la vengeance[가혹함과 복수속에서](Bar), Il va venir[그는 오리라](S), Vousqui du Dieu vivant outrager la puissance, soyez maudits[살아계신 하나님의 권세를 부정하는 너는 저주를 받으리](B), Rachel! quand du Seigneur la grâce tutélaire[라헬, 주께서 은혜로 구원하실 때](T)

사전지식: 성서의 이야기를 다룬 오페라로는 ‘모세와 아론’ ‘나부코’ ‘삼손과 데릴라’ 등이 있지만 성경이외의 유태 여인의 얘기를 주제로 한  오페라는 이것이 유일할 것이다. 하기야 세계에서 유태인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나라가 프랑스인 것을 생각하면 프랑스에서 유태인을 주제로 한 오페라가 먼저 나온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다. 15세기 초반, 기독교가 유대교를 극렬하게 배척하던 당시의 이야기이다. 무대는 스위스와 독일 국경에 있는 콘스탄스 호수 (독일어로는 Bodensee)의 마을이다.

에피소드: 오페라 ‘유태 여인’는 알레비의 첫 그랜드 오페라로서 그의 이름을 오페라 역사에 길이 남기게 한 작품이다. 오페라는 교회에서 De Teum을 소리 높여 찬양하는 소리와 교회밖에서 군중들이 엘레아자에 대하여 중얼거리는 소리가 묘하게 배합되면서 시작된다. 오페라는 삶에 대한 유혹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자기를 희생하더라도 신앙을 지켜야 한다는 거룩한 명제 등이 반복하듯 표현되어 보는 사람들의 판단을 촉구하고 있다.


줄거리: 제1막. 1414년. 신성로마제국의 지기스문트(Sigismund)황제가 종교회의를 소집했다. 종교개혁자 얀 후스(Jan Hus)를 물리친 승리를 자축하기 위한 모임이다. (☻ 사실 이 오페라의 도입부에서 로마 가톨릭과 종교개혁 얘기를 하는 것은 나중에 나올 기독교와 유태교와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이다.마을 사람들이 테 데움(Te Deum, 환희의 찬양)을 부르며 주일을 찬양한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이같은 성일에 일하는 사람이 있어서 놀란다. 유태인 엘레아자(Eléazar)였다. 금세공업자인 유태인 엘레아자는 기독교사회에 살고 있으면서도 아직까지 기독교 법을 따르지 않고 유태인 전통을 따르고 있다. 예전에 그의 아들이 기독교법에 도전하여 화형당한 일도 있을 정도이다. 엘레아자는 전에 살던 마을에서 이 마을로 이사 온 피난민이다. 콘스탄스시의 교구장(가톨릭으로 보면 본당 신부, 주임 사제)인 루지에로(Ruggiero)가 성일을 지키지 않는다는 이유로 엘레아자를 체포하려하자 콘스탄스 종교회의 의장인 드 브로니(De Brogni)추기경이 이를 말린다. 드 브로니추기경은 옛날 로마에서 살 때부터 엘리아자를 잘 알고 지낸 일이 있다. 드 브로니는 로마에 있을 때 시의회 의원이었다. 결혼하여 딸 하나를 두고 단란하게 살았었는데 얼마후 집에 불이 나서 아내와 딸을 잃은 슬픈 사연이 있다. 당시 드 브로니는 새로운 법에 따라 유대인 엘레아자를 추방했었다. 이런 어려운 과거가 있는 드 브로니 추기경은 용서를 베풀라는 철학을 가지고 신도들을 인도하여왔으며 이날도 교구 신부인 루지에로가 엘레아자를 체포하려 하자 ‘유태인을 관용으로 대하면 기독교로 개종시키는데 도움이 될것’이라면서 말린 것이다.


엘레아자에게는 라헬(Rachel)이라고 하는 아름다운 딸이 있다. 며칠전 이 마을에 찾아온 화가 사무엘(Samuel)이란 청년이 라헬을 보고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사무엘은 황제의 아들 레오폴드 왕자로서 얼마전 전투에서 얀 후스파를 물리친 군 사령관이기도 하다. 그는 알버트를 비롯한 참모들에게 절대로 자기의 신분을 밝히지 말라고 지시하고 잠시 동안이나마 마을에서 이름을 숨기고 지내고 싶다고 말한다. 마을 사람들이 물러가자 사무엘(레오폴드 왕자)은 라헬의 창문 밖에서 세레나데를 부른다. 라헬은 사무엘에게 내일 저녁 자기 집에 와서 유월절(Passover) 저녁을 같이 들자고 초청한다. 라헬은 사무엘이 정말 누구인지 모르고 있다.


제2막. 사무엘이 엘레아자의 집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유월절 축하에 참여하고 있다. 음식을 먹기 전에 엘레아자는 만일 우리들 중에 반역자가 있다면 징벌로 다스려 달라고 기도한다 (이런 내용의 기도는 그저 유태인의 관례적인 기도문에 불과하므로 크게 신경쓸 내용이 아니다). 이어서 유월절 무교병(누룩을 넣지 않은 떡)을 나누는 순서가 되어 엘레아자가 떡을 떼어 주지만 사무엘은 먹지 않고 바닥에 슬며시 버린다. 이 모습을 라헬이 얼핏 본다. 갑자기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린다. 유도시에(Eudoxie)공주이다. 공주는 사무엘(레오폴드)의 아내이다. 공주는 전쟁에서 승리하고 얼마후면 돌아올 남편 레오폴드에게 주려고 한다면서 고급 금목걸이를 주문한다. 공주는 레오폴드(사무엘)가 얼굴을 가리고 있어서 누구인지 알아보지 못하고 돌아간다. 사무엘(레오폴드)은 오랜만에 보는 아내를 속이고 라헬을 사랑하고 있는 자기의 마음을 뉘우친다. 라헬을 만난 사무엘은 급기야 자기가 기독교인이라고 밝힌다. 라헬은 어느 유태 여자든지 기독교인을 사랑하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고 말하면서 크게 한탄한다. 사무엘은 라헬을 위험에 빠트릴 생각은 추호도 없지만 라헬을 사랑하는 마음은 진심이라고 털어 놓는다. 사랑의 포로가 된 라헬은 사무엘과 함께 멀리 도망치려 하지만 엘레아자가 이 사실을 알게 된다. 엘레아자는 아직도 사무엘의 누구인지 모른채 사무엘에게 친절을 배신으로 갚는다고 하면서 비난한다. 하지만 만일 사무엘이 사랑하는 딸을 위해서 유대교를 받아들인다면 용서를 하고 두 사람의 행복을 축복하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사무엘(레오폴드)은 유태 여인과 결혼할수 없는 자기의 신세를 알고 그같은 제안을 거절한다. 자기의 제안에 거절을 당한 엘레아자는 사무엘(레오폴드)에게 저주가 임하기를 여호와께 기도한다.


제3막. 궁전에서 유도시에공주는 남편 레오폴드가 내일이면 전쟁터에서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하며 잔치를 준비토록 한다. 공주가 엘레아자에게 금목걸이를 주문했던 것도 이 날을 위해서였다. 라헬은 ‘노느니 염불한다’는 생각으로 집에서 가만히 있는 것 보다는 왕궁에서 이것저것 배우며 견문을 넓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왕궁의 계약직으로 취직한다. 라헬은 공주의 하녀로 일하게 된다. 마침내 왕궁으로 당당하게 귀환한 레오폴드는 라헬이 자기 부인의 하녀로 있는 것을 보고 놀라지만 내색을 할 수는 없었다. 곧이어 레오폴드를 위한 잔치가 한창이다. 그때 엘레아자가 금목걸이를 가지고 들어온다. 공주가 그 목걸이를 레오폴드에게 주려할 때 옆에 있던 라헬이 레오폴드를 알아보고 놀란 심정에 ‘사무엘!’이라고 소리친다. 모든 사실을 알아차린 라헬은 레오폴드에게 유대인이 정성스럽게 만든 물건을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고 외친다. 왕자가 유태 여인과 연애하였음이 드러나자 남은 것은 두 사람의 죽음뿐이다. 종교재판관인 드 브로니 추기경은 레오폴도가 아무런 변명이나 항변도 하지 않자 기독교인도 하나님의 법을 어겼고 유태인도 여호와의 율법을 어겼다고 비난한다.


제4막. 라헬을 만난 공주는 당신만이 자기 남편을 구해 줄수 있다고 하면서 레오폴드를 살려 달라고 간청한다. 라헬은 유태인도 기독교인들처럼 관용을 베풀수 있다고 대답하며 어떻게 해주겠다는 얘기는 하지 않는다. 공주는 라헬이 자기의 간청을 받아들인 것으로 알고 돌아간다. 예전부터 라헬을 알고 지낸 드 브로니 추기경은 라헬에게 목숨을 건지기 위한 유일한 길은 유태교 신앙을 거부하는 것뿐이라고 종용하지만 라헬은 여호와 하나님의 계명을 거역할수 없다고 단호하게 잘라 말한다. 라헬을 안타깝게 생각한 드 브로니 추기경은 엘레아자를 만나 라헬의 마음을 돌려 보라고 권해본다. 하지만 엘레아자 역시 똑같은 대답이다. 그러면서 엘레아자는 드 브로니에게 그 옛날 로마의 집에 불이 났던 일을 상기시켜주며 어느 그 어린 딸은 어느 유태인이 구해서 지금까지 잘 보호하고 있다고 얘기를 처음으로 해 준다. 유태인이 당신 딸을 구했으니 당신도 유태인의 딸을 구해야 되지 않겠느냐는 얘기였다. 놀란 드 브로니는 자기의 딸이 지금 어디 있는지 가르쳐 달라고 애원한다. 그러나 엘레아자는 아직은 말할 때가 아니라며 대답하지 않는다. 드 브로니가 크게 낙담하며 떠나자 엘레아자는 그 옛날 어린 라헬이 자기의 마음속에 들어와 행복을 주었던 일을 회상하며 눈물을 흘린다. 그 때 밖에서 사람들이 ‘유태인을 불태워 죽여라!’는 소리를 지르며 마치 폭도처럼 몰려온다. 엘레아자는 ‘기독교도들아, 우리의 피를 원하는가? 하지만 라헬이 피를 흘리게 할 수는 없다!’고 외친다. 엘레아자는 여호와께 이 고난을 이겨 나갈 빛을 보여 달라고 기도한다.


제5막. 콘스탄스 사람들이 이교도의 처형을 구경하기 위해 모여 있다. 교구신부는 종교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엘레아자와 라헬만을 처형키로 한다. 종교재판소는 레오폴드 왕자에 대하여 과거의 공적을 생각하여 추방키로 했음을 발표한다. 엘레아자는 기독교도들의 위선과 허구를 소리 높여 비웃는다. 라헬은 아버지 엘레아자에게 자기의 증언으로 레오폴드가 목숨을 건지게 되었다는 사실을 비로소  밝힌다. 그리고 기독교도들에게 자기를 위해 우는 모습을 결코 보여주지 말아 달라고 당부한다. 형리가 다가오자 엘레아자는 마지막으로 딸 라헬에게 기독교를 믿겠다는 단 한마디만 하라고 간청하지만 라헬은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고개를 흔든다. 이 때 드 브로니 추기경이 달려와 엘레아자에게 로마 집에서 불이 난 후 자기 딸이 어떻게 되었느냐고 애원하며 묻는다. 사람들이 어서 라헬을 처형하라고 소리치자 형리가 라헬을 끓는 가마 속에 집어 던진다. 그 때 엘레아자가 드 브로니에게 ‘보아라! 저기 당신의 딸이 있다!’고 외친다.


-----------------------------





ritorno


회귀 , 한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오거나 돌아간다



----------


 campana di [의 , 으로]san giusto


 산주스토의 종 



 la mia canzone [ 나의 노래 ] 


 

 mia는 영어로 my라는 


         canzone [ 칸초네 . 노래 , 가요] 



 

La

- 여성명사 앞에 쓰이는 정관사입니다.





 


 adorables lourments



  adorables 사랑스러운 



  lourments 



 Agonies





 Agonies  [프랑스어로는 임종의 순간 , 마지막 , 최후 ] 



  adorables tourments  사랑스러운 마지막  


  임의 사랑스런 마지막 



 pour un baiser 입맞춤을 위해서 



 위하여 위해서    ~을     입맞춤하는것


 입맞춤을 위해서 


--------------




http://www.tchaikovsky-research.net/en/Works/Songs/TH101/





The Six Romances, Op. 38,



  six romances 라는 작중 38번째 작품 ,  


 serenade espagnole


세레나데             스페인 [원래 소스 명칭인데 . 이렇게 부르기도하는듯]



  


“오소서 세상을 지으신 성령이여(Veni, Creator Spiritus,


Gregorian Chant







 Missa pro defunctis: Requiem aeternam..Te decet hymnus 



  사자를 위한 미사 



 vola turtur de nido


   날다 새가           ~를 떠나 둥지


 둥지를 떠나 날으는 새 



 관현악 [오케스트라]

관현악 (管絃樂 Orchestra)

관현악은 합주의 한 형태로 현악기와 관악기, 타악기 등으로 조직된 합주를 말하는데, 관현악의 편성 규모는 주로 목관악기의 수를 기준으로 한다. 그 편성은 2관 편성, 3관 편성, 4관 편성으로 나뉜다. 관현악을 감상하려면 그 여러 악기들의 음색과 성질을 잘 알아야 하고, 그래서 우선 악기에 대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는 것이 좋다


000000-----



테레즈 라칸  Therese Raquin  . sleep and dream 





 토카타 toccata


 급속한 분산화음과 음계적 패시지(passage)를 주체로 하는 기교적·즉흥적인 건반음악의 형식.



   


  piano concerto op 14 II 13 tranquillo (arr. for piano solo}


    콘체르토[협주곡] 14번 2번째  안단테     tranquillo란     음악용어 조용하게, 침착하게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andante란 걸음걸이 빠르기로 느리게란 뜻 



기에 대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는 것이 좋다.

 

* 협주곡과 소나타 (Concerto & Sonata)

이탈리아 바로크에는 대개 현악만을 중심으로 한 합주로, 전원이 합주하는 부분을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라 불렀고,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독주부는 콘체르티노(Concertino)라 불렀다. 고전파의 협주곡은 합주 협주곡과 같이 3개의 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하나의 독주 악기가 관현악과 대립하여 연주한다. 협주곡은 연주 도중에 독주자의 기교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한 카덴차(Cadenza)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이 아주 절묘하다.

소나타 형식은 대부분 3~4악장의 제시부-전개부-재현부로 되어 있고, 이런 양식은 대개 소나타의 1악장에 사용되는데 소나타의 악장 배치는 교향곡형의 알레그로 - 안단테 - 미뉴에트(스케르초) - 알레그로와 협주곡형의 알레그로 - 안단테 - 알레그로가 지배적이다. 기악곡, 교향곡, 협주곡 모두 포함한다.



---------

테레즈 라칸  Therese Raquin  . sleep and dream 





 토카타 toccata


 급속한 분산화음과 음계적 패시지(passage)를 주체로 하는 기교적·즉흥적인 건반음악의 형식.



   


  piano concerto op 14 II 13 tranquillo (arr. for piano solo}


    콘체르토[협주곡] 14번 2번째  안단테     tranquillo란     음악용어 조용하게, 침착하게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andante란 걸음걸이 빠르기로 느리게란 뜻 




scarbo

posted by 人心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