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팝(Britpop)은 브리티시 인베이전으로 대표되는 음악적 운동의 하나이자 록 음악의 장르이다. 원래 "브리티시 모던 록"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본래 브릿팝은 1990년대에 영국에서 성행한 하나의 얼터너티브 록 계열의 일종의 움직임이었다. 1990년대 초반의 인디 음악에서 파생했으며 주로 60,70년대 영국 기타 팝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이 움직임은 미국에서 건너온 그런지 등의 당시 유행에 대항하며 발생하였다. 많은 밴드들은 애국적인 가사를 지었으며, 너바나 등 외국 밴드에 맞서 싸우는 듯이 영국만의 특색있는 음악이나 가사를 고집했다. 스웨이드와 블러같은 그룹을 필두로 점차 성공을 이루게 되고, 오아시스, 펄프, 슈퍼그래스와 같은 밴드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실제로 그런지에서부터 소프트 록, 하드코어까지 포함한 브릿팝 음악에서 음악적인 특색은 꼬집어 말하기 어려우나, 특별히 얼터너티브 록을 메인스트림화 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만은 분명하다. 또한 그 무렵 영국 문화 전반에서 일어난 "Cool Britannica" 움직임의 일환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밴드들이 전 세계적으로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음악적 실패(오아시스)나 다른 스타일로의 이동(블러) 등으로 1990년대 말 그 흐름이 급격히 무너져갔다. 그러나 라디오헤드와 버브의 앨범이 크게 성공하면서 초기의 브릿팝 스타일과 다르지만 일명 포스트브릿팝으로 불리며 콜드플레이, 뮤즈, 스노패트롤,트래비스와 같은 밴드들의 등장과 함께 현재까지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편집]음악 스타일, 영향
브릿팝 아티스트들은 비틀스, 롤링스톤즈, 킹크스로 대표되는 브리티시 인베이전, 데이빗 보위와 같은 글램 록, 클래시와 더 잼으로 대표되는 영국 펑크 록과 같은 과거 영국적인 기타음악에 영향을 받았다. 아티스트마다 세부적인 영향은 다양하나 공통적으로 과거의 자국음악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영국 인디씬이 브릿팝의 생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스미스의 영향은 모든 브릿팝 아티스트들에게 묻어난다. 그리고 스톤로지스, 해피 먼데이스와 같은 매드체스터 아티스트들의 음악에서 묻어나는 쉽고 간단한 팝적인 멜로디는 브릿팝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편집]같이 보기
http://en.wikipedia.org/w/index.php?title=Special:Search&limit=20&offset=20&redirs=1&profile=default&search=list+of+music+genre
http://en.wikipedia.org/wiki/Category:Lists_of_music_genres
amazon.com
Discogs
cdbaby
cduniverse
youtube.com
http://music-releases.com
-------------
http://www.melodig.com
------
www.vinylsearcher.com/
http://britpop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