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4. 6. 17. 21:59

일렉트로닉 락 / Electronic Rock

개요

Electronic Rock. 1960년대 이후 락은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장르 자체로써 다양한 변화를 꾀하게 된다. 앰비언트와 싸이키델릭 뮤직같은 기존 락 음악의 형식 파괴와 더불어 기술적으로도 신디사이저와 같은 새로운 악기의 등장으로 인해 변화가 이루어진다. 일렉트로닉 락은 신디사이저의 발명과 미디 음악의 등장으로 생겨난 새로운 형식이며 이후 일렉트로클래쉬, 댄스 펑크 (Dance Punk), 뉴 레이브, 신스팝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위 장르

크라우트락

1960년대 후반 독일에서 생겨난 새로운 음악 경향. 클래식 음악과 당시의 프로그레시브 락 등에 영향을 받아 신디사이저의 새로운 사용 등의 실험적 방식을 행했으며 전통적인 영국식 락앤롤, 블루스에서 탈피하여 이후 형식을 파괴한 새로운 장르의 탄생을 예고하였다. 특히 유명한 크래프트워크의 음악도 이 장르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텐저린 드림, 파우스트, 애쉬 라 템플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손꼽힌다.

장르명에 대한 논쟁으로, 몇몇 사람들 (특히 독일 출신의 음악가들)은 'kraut'라는 속어에 대해 불쾌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는 독일의 대표적인 음식인 Sauerkraut에 빗대 음악을 비하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독일 출신의 음악가들은 대체언어로 'kosmiche'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베를린 스쿨

크라우트락의 부산물로써, 초기의 많은 실험 뮤지션들이 독일 베를린 출신인 사실 때문에 만들어진 단어. 후에 뉴에이지와 앰비언트트랜스 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얼터너티브 댄스

인디 댄스 (indie dance)라 불리기도 한다. 프로디지를 통해 전세계에 알려졌다. 올뮤직은 이 장르를 일컬어 멜로디가 있는 곡의 원료에 얼터너티브/인디 락과 일렉트로닉 비트를 섞은 장르라고 명명하기도 했다.


콜드웨이브

포스트 펑크 (Post Punk)가 프랑스로 건너가 변형된 형태.


댄스-펑크

Dance-Punk. 뉴웨이브 운동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온 No Wave Movement와 포스트 펑크(Post Punk)가 결합된 음악. 디스코하우스 등의댄스 뮤직에 영향을 받았다.


다크 웨이브

뉴웨이브와 포스트 펑크 (Post Punk)의 결합 형태. 좀 더 어둡고 내성적인 성향이 부각되었다.


일렉트로닉 코어

포스트 하드코어와 일렉트로닉 음악이 결합한 형태.


이터리얼 웨이브

다크 웨이브의 하위 장르로써 고딕 락과 결합한 형태.


인디트로니카

인디 음악, 일렉트로니카, 락, 팝 뮤직 등이 결합한 형태.


뉴 레이브

일렉트로닉 음악, 뉴웨이브, 테크노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가 뒤섞인 형태. NME 매거진에 의해 2006년에 재조명되어 유행되었으나 2008년 급속도로 시들어버린다.


누-게이즈

얼터너티브 락과 슈게이징이 합친 형태.


스페이스 락

1970년 영국 지역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레시브 혹은 싸이키델릭 뮤지션들에 의해 탄생한 장르.


신스팝

1980년 생겨난 음악 장르. 프로그레시브 락, 일렉트로닉 아트 락, 그리고 크라우트 락의 연장선상에 있다.


신스펑크

일렉트로닉 음악과 펑크 락 (Punk Rock)의 결합 형태.




http://escape.ncity.net/wiki/%EC%9D%BC%EB%A0%89%ED%8A%B8%EB%A1%9C%EB%8B%89_%EB%9D%BD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17. 21:47

전자 음악 / Electronic Music

Electronic Music, 혹은 Electronica

전자 음악 기계, 혹은 전자 음악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낸 음악들의 통칭. 넓은 범위로 보자면 전자음을 사용하는 모든 음악장르를 일컫는 말이지만, 일반적인 의미로는 1960년대 서양 실험주의, 사운드 아트, 무지크 콩크리트 등에서 탄생한 새로운 음악의 경향과 그것에서 뻗어나간 다양한 분파의 음악 ; 테크노다운템포하우스트랜스드럼 앤 베이스하드코어 테크노등의 장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쓰인다. 1980년대 팝 음악과 락의 크로스오버를 거치며 주류 문화로 급부상하여 애시드 붐과 레이브를 만들어내고, 1990년대부터 미국 주류 음악에 진입하며 전세계적으로 EDM과 페스티벌 부흥 등의 문화 현상을 발생시킨다.

춤을 위해 만들어진 댄스 뮤직은 따로 Electronic Dance Music (EDM) 이라 칭하기도 한다. DJ는 이러한 오락 행위의 장소에서 흥이 끊기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음악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렇게 만들어진 연속적인 댄스 뮤직 세트를 믹스셋이라고 칭한다.

음악의 역사

역사 연표에 대해서는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과 신디사이저/역사 항목을 참고.

전자 음악의 역사는 음악 기술의 발전, 즉 전자 악기와 컴퓨터 등이 발전하여온 역사와 맥락을 같이한다. 즉 기술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신디사이저의 개발로 인해 작곡가들은 개인 스튜디오와 같은 작업실에서 연주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으며, 샘플링과 루프 기술에 의해 전자 음악 특유의 패턴을 가지게 되고, 창조적인 음악가들에 의해 형식은 보다 다채롭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한편 일렉트로닉 음악 자체가 특유의 확장성과 크로스오버 때문에 종종 다른 방식과 형태로의 변환을 꾀하는 편이며, 이를 통해 앰비언트, 정글, EDM과 같은 새로운 음악장르가 탄생하기도 했다. 1970년대부터 미니무그의 등장과 함께 전자 악기를 획기적으로 사용한 크라프트베르크텐저린 드림파우스트브라이언 이노 등에 의해 크라우트락이 탄생한 것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는 뉴 오더디페쉬 모드 등의 뮤지션과 뉴 웨이브 운동에 영향을 받기도 했으며, 에이펙스 트윈과 오테커(Autechre)에 의해 인텔리전트 댄스 뮤직매시브 어택트리키포티쉐드 등에 의해 트립 합, 크루더 & 돌프마이스터 (Kruder & Dorfmeister)에 의해 다운템포 음악의 새로운 형식이 등장하기도 했다.

1990년대부터 모비의 앨범이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마돈나(와 프로듀서 윌리엄 오빗)의 앨범 'Ray of Light', 뷔욕의 앨범 'Post', 'Homogenic' 에 의해 일렉트로닉 음악이 주류 문화에도 공개되며 수많은 아티스트가 대규모 공연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게 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유명한 아티스트는 프로디지케미컬 브라더스팻 보이 슬림언더월드모비크리스탈 메소드페이스리스다프트 펑크 등을 꼽는다. 한편 1997년 빌보드 기사가 조명하듯이 클럽 커뮤니티와 독립 레이블에 의해 실험적인 시도 또한 계속해서 연구되어왔는데, 이는 곧 주요 대형 레이블과 MTV에 의해 발견되고 상업화되면서 주류 음악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next big thing'이 되기 위한 높은 투자가 이루어졌다.

15년 뒤인 2011년을 기점으로 각종 화려한 페스티벌과 아티스트가 생겨난 지금에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미디어는 이들을 new rave generation이라 칭하기도 했다. 또한 이 시기는 EDM이라는 단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시기이기도 하다. 현대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데이비드 게타스크릴렉스아비치 등이 거론된다.

참고 자료
일렉트로닉 뮤직의 역사 (번역작업 : 크메르의 세계)
How Music Travels – The Evolution of Western Dance Music

문화적 관계

각 항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추가바람

다른 음악장르와의 관계

오랜 역사와 장르 자체의 성격상 다른 음악과의 교류가 빈번한 편이다. 락 음악에서는 뉴 오더와 같이 일렉트로닉 음악의 성격을 흡수하기도 하고, 반대로 펜듈럼처럼 기존 일렉트로닉 음악을 락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기도 한다. 힙합 또한 당연하게도 연관이 깊으며 음악 뿐만이 아니라 때로는 문화적 환경까지도 공유하기도 한다.

팝 음악또한 이들을 언제나 주목하고 있으며, 일렉트로닉 음악의 댄서블한 구조와 새로운 모습을 자주 차용한다. 가장 최근에는 데이비드 게타의 등장과 슈퍼DJ들의 영향으로 EDM이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적 발전과 음향 장비의 영향

음악 기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장르라고 한 만큼 테크놀로지에 가장 민감한 장르이기도 하다. 앰비언트와 크라우트락은 신디사이저의 새로운 활용법 중 하나였으며, TR-808은 디트로이트 테크노와 초기 하우스의 기초를, TB-303은 애시드 하우스를 만들어내는데 상당한 공헌을 했다. 그 이외에도 MIDI 신호의 개발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발전은 곧 아티스트의 다양한 시도와 직결되었다. 새로운 장비와 기술이 나온다는 것은 곧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도 DAW와 VST를 비롯한 다양한 가상 악기와 장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환경에 따라 음악 스타일이 변하기도 한다. 가령 음향 시설이 받쳐주는 곳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은 그만큼 풍부한 베이스 영역대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혹자에 따르면 스크릴렉스의 덥스텝은 이어폰으로 음악을 자주 듣는 환경에서, 원래의 덥스텝이 가지는 우블 베이스의 저음을 듣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미드레인지까지 올렸다고 하기도 한다.

디제잉 문화와 라이브 공연

믹스셋이라는 존재 때문에 디제이의 비중 또한 높은 편이다. 일렉트로닉 음악에서의 DJ는 일련의 곡 구성을 짜고 이를 순차에 맞게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모음집을 만드는 콜렉터에 가깝다. 수많은 일렉트로닉 아티스트가 디제이를 겸업하거나 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자신의 셋 리스트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일렉트로닉 아티스트의 라이브 공연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라이브와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보통 음악가들의 라이브가 실제로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면, 일렉트로닉 음악의 경우 연주를 기계로 담당하는 대신 즉석에서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내거나 음악을 합성, 샘플링, 매쉬 업하는 등의 즉흥적인 프로듀싱에 중점을 두는 편이다. 물론 기존의 라이브와 같이 신디사이저나 악기를 이용해서 연주 또한 선보일 수 있다.

패션과 유행

유행에 민감한 일렉트로닉 음악은 패션과도 관계가 깊다. 세련되고 개성있다는 인식때문인지 패션쇼를 비롯한 트렌드 아이템으로 자주 쓰이는 편이며, 테크토닉과 같이 특유의 패션 양식을 가지기도 한다. 무대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것도 많기 때문에 다른 장르에 비해서 비주얼에 신경을 많이 쓰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리스너와 아티스트는 화려한 치장보다는 편하되 자신의 개성을 가지는 것을 우선한다. 이것은 특정한 틀이 없는 일렉트로닉의 성격상, 자유롭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으며 그것을 타인이 간섭하지 않는 성격과 연관되는 것 같다.

섹스와 엑스터시

일렉트로닉 음악이 소비되는 위치와 성격을 생각해봤을 때, 일렉트로닉 음악이 성적인 코드와 환각을 비롯한 유흥문화에 엮이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직접적으로 연관성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넓은 범위에서 생각해볼 문제이다. 가령 놀이문화 전반에서 요구하는 욕구들, 음주가무 문화 전반에서 드러나는 몇가지 요소들이 일렉트로닉 음악과 결부되며 특이성을 띄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일렉트로닉 음악에 대해서만 말하자면, 애시드 하우스나 싸이키델릭 뮤직처럼 일부 음악이 환각과 황홀감을 묘사하는 것에 대해 마약의 영향을 받은 음악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는데, 인간이 가진 원초적인 감정과 성격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좀 더 직관적이고 추상적인 일렉트로닉 음악이 환각작용과 유사하여 연관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일렉트로닉 음악은 단지 인간이 가지는 여러 느낌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일 뿐이며, 다른 음악장르에 비해 좀 더 추상적이고 상징적으로 그 것을 표현하고 있다고만 알아두자.

장르 분류

아래 등재된 리스트는 위키피디아의 List of electronic music genresStyle Guide Genre Electronic - The Unofficial Discogs Wiki 등을 기초로 하고 있음을 알린다. 새로운 장르에 대한 다양한 의견 추가바람.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17. 21:42

일렉트로닉 바디 뮤직, EBM (Electronic Body Music) 혹은 Industrial dance이라고도 부른다. 인더스트리얼 뮤직과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신스펑크가 합쳐졌다.

대표적인 아티스트 : Front 242, D.A.F, Nitzer Ebb , A Split-Second, Aghast View, Portion Control, Leaether Strip



posted by 人心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