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1. 2013.04.27 :: Nu jazz 누 재즈
  2. 2013.04.27 :: Ethnic electronica
  3. 2013.04.27 :: space disco 스페이스 디스코
  4. 2013.04.27 :: Nu disco
  5. 2013.04.27 :: Italo disco
  6. 2013.04.27 :: Euro disco 유로 디스코
  7. 2013.04.27 :: disco polo 폴란드의 전통음악과 이탈로 디스코가 합쳐졌다
  8. 2013.04.27 :: cosmic disco
  9. 2013.04.26 :: disco 디스코란
  10. 2013.04.26 :: Nu funk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8:19

 

많고많은 째즈의 장르 중에서 가장 트렌디하다면 트렌디 할 수 있는 째즈.

 

누.째.즈.

[Nu Jazz]

 

 

누째즈는 '째즈의 역사'라는 교양 수업에서도 배우지 못했던 째즈계의 신 장르입니다+_+

그래서인지 누째즈에 대한 검색을 해도 정확한 정의나 정보들이 아주 미미하게 존재하는데요 엉엉

 

 

 

저의 검색망 안에서 확인된 누째즈는

 

▒ 째즈와 댄스 음악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음악

▒ 일렉트로닉 음악에 재즈적 요소를 가미한 음악

▒ 째즈의 고풍스러움과 하우스&일렉트로닉의 모던함이 조화를 이루는 음악

 

정도가 되겠네요 힣 :)

 

 

 

 

 

하지만 여러분 모두 누째즈는 하루에 한 번 이상씩 듣고 있다는 사실.....

!!!!!!!

 

어.. 어떻게?

 

 

 

바로 TV CF들을 통해서!!!!!!

 

 

 

 

우리 귀에 너무나 익숙한 광고인 '현대자동차의 PYL'

CF에 삽입된 비쥐엠 역시 누째즈라능!!!_!!

 

 

흥겨운 누째즈의 리듬과 김윤아의 톡톡박히는 목소리까지!

정말 음악이 씨엪에 반은 먹고 가는 광고인것 가타요!!!!!!!

 

 

이 CF외에도 현대카드의 다양한 광고에서 누째즈들이 사용되었는데여

아마 음악을 들으시면 무릎을 탁! 치실예염

진짜로,정말로!

 

 

 

 

 

 

 

누째즈는 기승전결의 구조로 이루어지기 보다

 하나의 리듬을 계속해서 후크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렇게 중독성 깊은 누째즈는 단시간에 사람들 뇌리에 기억을 남겨야하는 CF에 아주 효과적인거죠*_*

 

 

 

많은 분들이 처음 누째즈를 접할 때처런 누 째즈는 기존의 째즈들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데요!

 

일레트로닉에 재즈적인 요소가 결합한 것이 누째즈라는 설명처럼

째즈가 음악의 주요요소가 아니라 부차적인 요소로 활용되기 때문이랍니당

 

 

그래서 누 째즈(Nu Jazz)는 정통 재즈계에서는 무시당하기도 하는데여ㅠㅠ

그치만 대중적으로는 오히려 인기가 많탑니다bb

흥겨운 리듬과 멜로디 덕분이겠죠??

 

 

 

 

 

 

그리고 누 째즈(Nu Jazz)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마성의 이 남자.

파로브 스텔라(Parov Stelar)임돠

 

(하...사진이 너모 머싰다ㅠㅠ.....)

 

 

Nu Jazz의 거장, Nu Jazz의 마에스트로, Nu Jazz의 영웅 등이라 불리며

세계적인 누 째즈의 대표주자 인 파로브 스텔라인데여

 

오스트리아 출신의 DJ로 요즘 가~장 잘 나가는 세계적인 일렉트로니카 재즈 뮤지션입니돠

 

 

 

앞에서 보고 온 현대차 CF의 비쥐엠 역시 'All Night'으로 파로브 스텔라의 곡!!

진짜 대단한다는 말이 수식어로 붙어여 ㅠㅠ 님 짱..

 

 

 

 

 

 

 

파로브 스텔라(parov stelar)는 1930년대 고전 재즈의 리듬을 현대적 비트와 일렉트로니카를 활용하여

자신만의 강렬한 리믹스를 만들어 내는데여

 

 

 

2004년 봄, kiss kiss라는 곡을 발표하면서 유럽을 열광의 도가니로 만들었던 장본인 이기도 하죵

 이 곡도 국내 CF비쥐엠에 사용되어서 들으시면 금방 알 수 있을거예여!!

 

 

 

old한 느낌의 재즈와 하우스 뮤직의 비트가 잘 버무려진 파로브 스텔라의 Nu Jazz!

저절로 어깨를 들썩이며 리듬을 맞추게 되는 Nu Jazz 농약같은 매력

 

 

 

 

흔들어 재낄 준비되셨나여?

저에게 누째즈를 접하게 해준 파로브 스텔라(parov stelar)의 'catgroove'입니다 뜨든

 

 

 

아주 그루브 감이 최고죠잉?

파로브 스텔라가 약빨고 만든거 가타여허엉

 

Jimmy's Gang, Libella Swing, Chamvermaid Swing 등 다른 곡들도 최고랍니돠

 

 

 

 

 

 

생소하지만 생소하지 않은 누째즈(Nu jazz)

 

적당한 흥이 필요할 때 딱 틀어주시면 당신은 쎈스쟁이!


----------



Discogs

http://electro-maniacs.net

http://www.clublandlv.com/

http://vgmdb.net

beatport

cduniverse.com

dance-tunes.com

orkut.com

http://cloudmix.it

http://soundcloud.com

http://www.trackitdown.net/pro

http://www.junodownload.com

http://world-clubmusic.org/

http://www.djdownload.com / .

tumblr.

http://www.livingelectro.com/

http://platinumw.org/rafael-frost-in-the-air-t3312385.html 

http://www.1001tracklists.com/

http://mixing.dj/

http://promomix.org/

http://plixid.com/ 

http://gall.dcinside.com/elec/109242

last.fm


http://www.digitalsociety.co.uk/

페스티벌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reverbnation 


밴디캠 

bandcamp bandcampbandcampbandcamp

등  자기것 직접 올릴수 있는 인기있는사이ㅡㅌ 


--------------------


http://www.soundwall.it/

http://www.aimnat.net/ 

itunes

.http://musiceffect.ru/radioshows/ 


http://www.mixesdb.com 


http://www.tribalmixes.com/ 


bestdjmix.com


http://plixid.com/

http://www.trancecommunity.com

http://liveset.nl 


http://megaclubmusic.com 

junodownload

djmag.com 


youtube 



레이블도  '


----------


http://en.wikipedia.org/wiki/Nu_jazz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7:39

Ethnotronica
Stylistic originsWorld musicelectronicaEDM
Cultural originsLate-1990s United Kingdom
Typical instrumentsSynthesizerdrum machine,sequencersampler, varioustraditional instruments
Other topics

http://www.youtube.com/watch?v=JG0pegmmB5A

 ethnic electronica - world music 과 electronic 음악이 합쳐짐 

deep forest가 대표적인 ethnic electronica그룹으로 평가되는것은 샘플링을 주축으로 하여 전체적인 곡의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세련된 감각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앨범에서는 그렇기 보다는 특정 멜로디를 주축으로 한 채 그 곁에 샘플링 소스를 갖다 붙인듯한 느낌을 주기 떄문에, 많은 이들이 실망하는 것 같다. 아래에 첨부한, 그저 일렉트로닉 음악인 14번 트랙 La Veuve Furieuse의 예도 있고...(차라리 the prodigy가 생각나네)


또다른 예를 들자면, 8번트랙 L'lle Invisible에서의 피아노 멜로디를 주축으로 1번 Pacifique를 구성하였는데, 이때의 느낌은 그들의 이전앨범 Boheme의 6번 트랙 Bulgarian Melody에서 느낄 수 있었던 그것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듣다 보니 L'lle Invisible에서는 왠지 debussy의 느낌도 나는것 같고, 그래서 이 앨범('Art of Noise - Seduction of Claude Debussy')의, 특히 9번트랙, La Flute De Pan을 이어서 들어도 별로 어색하지 않는다. 물론 이 앨범이 생각난것은 지난 글에서도 적었듯, 이 음악가들 서로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


Notable acts of ethnic electronica include Bryn Jones with his project Muslimgauze (before his death in 1999), the artists of Asian underground movement (Asian Dub FoundationState of Bengal,Transglobal UndergroundNatacha Atlas), Mozani Ramzan,[3] ShpongleZavolokaBanco de Gaia,ZingaiaAfro-Celt Sound System, early work by Yat-Kha (with Ivan Sokolovsky[4]). Among the commercial acts which work with this subgenre: PraiseEnigmaephemeral mistsDeep ForestIvan KupalaStelsiAgricantus.





-----------


google


amazon.com

Discogs


cdbaby


cduniverse


youtube.com


http://music-releases.com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6:41

Space disco
Stylistic originsDiscoscience fiction musicand filmspsychedelia,psychedelic rockEuro disco;glam (in fashion); pop (later compositions)
Cultural origins1970s in Europe (with notableUnited States influence)
Typical instrumentsSynthesizersstrings,keyboarddrumsvocals
Derivative formsUK synthpopEurodanceHi-NRG
Fusion genres
Italo disco

--------



http://www.youtube.com/watch?v=MzDsPRSRC3s



스페이스 디스코는 미래를 테마로 한 소리와 영상의 음악이고 


 주요 아이디어는 인간이 우주의 불가사의 탐험을 하는것이며


많은 밴드들은 종종 로봇처럼 , 로봇형태의 분장을 한다 , 그들의 라이브 공연에는 


레이저 불빛과  컴퓨터 화면이 쓰인다 


 그들은 종종  글램 락과 어느정도 퓨저리즘한 패션에서 영감을 받으며 음악을 한다 


1980년 이후 동유럽의 많은 사회주의 국가 기관들은 자주 


  초현대적 예술가  <미래를 상상하는>  들이 입는 옷 


 옷을 입고 무대를 나오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고 반대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도 점점 발전 , Italo disco 등과 같은 음악에 영향을 줬다 



http://en.wikipedia.org/wiki/Space_disco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2:39


Bag Raiders - Shooting Stars







Discogs


http://electro-maniacs.net

http://www.clublandlv.com/

http://vgmdb.net

beatport

cduniverse.com

dance-tunes.com

orkut.com

http://cloudmix.it

http://soundcloud.com

http://www.trackitdown.net/pro

http://www.junodownload.com

http://world-clubmusic.org/

http://www.djdownload.com / .

tumblr.

http://www.livingelectro.com/

http://platinumw.org/rafael-frost-in-the-air-t3312385.html 

http://www.1001tracklists.com/

http://mixing.dj/

http://promomix.org/

http://plixid.com/ 

http://gall.dcinside.com/elec/109242

last.fm


http://www.digitalsociety.co.uk/

페스티벌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reverbnation 


밴디캠 

bandcamp bandcampbandcampbandcamp

등  자기것 직접 올릴수 있는 인기있는사이ㅡㅌ 


--------------------


http://www.soundwall.it/

http://www.aimnat.net/ 

itunes

.http://musiceffect.ru/radioshows/ 


http://www.mixesdb.com 


http://www.tribalmixes.com/ 


bestdjmix.com


http://plixid.com/

http://www.trancecommunity.com

http://liveset.nl 


http://megaclubmusic.com 

junodownload

djmag.com 


youtube 



레이블도  '


============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2:23


Italo disco
Stylistic originsDiscoEuro discoHi-NRG<?>, pop,electronic rockEuropopnew wavehouse
Cultural originsMid to late 1970s in Italy
Typical instrumentsSynthesizersdrum machine,samplerkeyboardssequencer,vocalselectric guitardrums
Derivative formsNu-discoEurobeatfreestyle,EurodanceItalo houseItalo dance



http://escape.ncity.net/wiki/%EC%9D%BC%EB%A0%89%ED%8A%B8%EB%A1%9C%EB%8B%89_%EB%AE%A4%EC%A7%81_%ED%83%80%EC%9E%84%EB%9D%BC%EC%9D%B8?s[]=%EC%9D%B4%ED%83%88%EB%A1%9C&s[]=%EB%94%94%EC%8A%A4%EC%BD%94


이탈로 디스코

Italo Disco

Contents

1 개요
2 화려한 부활?
3 이탈로 디스코 레이블
4 아티스트

70년대~80년대에 유행했던 디스코 장르. 이름대로 이탈리아에서 나온 장르다.[1]

1 개요 

우리가 흔히 롤러장 음악이라고 불리우던 것이 바로 이것이다. 언듯 들어보면 왠지 팝송처럼 들린다.[2]

이탈로 디스코의 시초는 1978년 라 비욘다라는 2인조 디스코 형제가 One For You, One For Me[3]라는 곡으로 히트치면서 시작되었다. 그 히트곡을 낸 뒤, 라 비욘다형제는 다른 가수들에게 프로듀서 역할을 해주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점점 이탈리아만의 디스코 음악이 탄생되었으나 이때까지는 아직 장르로 구분되지 않았다.
이탈로 디스코(Italo Disco)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은 1983년 독일의 베른하드 미쿨스키(Bernhard Mikulski)가 이 장르의 곡들을 모아 The Best of Italo-Disco 등 "Italo"라는 글귀가 들어간 앨범들을 내면서 탄생하게 되었다.

90년대에는 점점 유행이 끝나게 되면서 유로비트이탈로 댄스이탈로 하우스디스코 폴로 등 다양한 파생 장르가 탄생하게 된다.

2 화려한 부활? 

그렇게 대중들에게 잊혀져가던 이탈로 디스코는, 2000년대 후반에 들어,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그것은 다름아닌 2000년대 후반부에 일본에서 있었던 작은 유로비트 성황기였다.이때를 기회로 타임 레코드나 A Beat-C,Asia같은 원로 레코드들은 옛날 이탈로 디스코들을 유로비트 방식으로 리메이크하여 이탈로 디스코의 화려한 부활을 알린다.이렇게 이탈로 디스코는 새로운 방식의 믹스들을 많이 선보여서,옛날처럼은 아니지만 나름대로의 부활을 마친상태다. 2010년대 들어서 유로비트 시장의 상황이 갑작스럽게 안좋아진것과는 굉장히 대조적인 상황.

한국에서도 롤러장 음악으로 인기가 있었던 덕분인지 가끔 최신곡으로 "복고풍 댄스곡"이라 내세우면 거의 이탈로 디스코 형태의 음악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게 달샤벳의 "있기 없기".

3 이탈로 디스코 레이블 

  • Time레코드
    • 세르지오 달로라 옹이 이탈로 디스코 사업에 뛰어들면서 세계구급 히트를 친다.
  • The Factory Team(Asia)
    • 마우로 파리나의 팀이 여러 인재들을 육성하기 시작하며 대박을 친다.
  • Flea
    • 이탈로 디스코의 기원탄이 된 레이블.8,90년대 유로비트와 이탈로 디스코의 스타들은 모두 이 레이블을 거쳐갔다.
  • Discomagic
    • Flea 레코드의 또다른 세력이 분리독립하여 세운 레이블.그 유명한 라디오라마와 Max Coveri가 이곳을 거쳐갔다.
  • A Beat-C
    • 지안카를로 파스퀴니를 중심으로 레이블 초창기에 이탈로 디스코를 생산하였다.
  • Flashback Record
    • 2012년에 새로 진입한 레이블.요즘 핫하다는 Italove가 소속되어 있다.

4 아티스트 


  • 클럽헌터: 한국인으로 봉필전자밴드(Bonfeel Electro Band)라는 명의로 낸다.
이탈로 디스코/보컬리스트참조.
----
  • [1] Italo는 "이탈리아"를 뜻하지만 "이탈리아 사람", "이탈리아의", "이탈리아식"을 뜻하는 Italian과는 다르다.
  • [2] 팝송처럼 들리는 게 맞다. 신스팝과 포스트 디스코, 스페이스 디스코 등에서  유래한 음악이면서 영어가사가 들어가는 음악이니...
  • [3] 나중에 사이팜에서 마우로 파리나(Mauro Farina)가 Funky Sisters 명의로 하이-에너지 느낌으로 리메이크했다.





--------------

http://italodiscoforever.mylivepage.com/home/index/

http://www.italo-disco.it/forum/


http://www.italo-disco.net/


http://www.italo4ever.com/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2:07

Euro disco
Stylistic originsDiscopoprockEuropop,New Wavehouse
Cultural origins1970s Europe (notably France,Germany and Italy)
Typical instrumentsElectric guitarbass guitar,pianokeyboarddrums,synthesizer
Derivative formsEurodance - Europop -
Subgenres
Space disco - Italo disco - Eurobeat -Disco polo

Eurodance
Stylistic originsHouseeuro discohi-NRG,technotrancesynthpopdance-pophip hop
Cultural originsEurope, late 1980s
Typical instrumentsSynthesizerdrum machine,keyboardssequencer
Derivative formsDisco poloFrench houseItalo dancebubblegum dancehappy hardcoreUK hardcore,progressive trancepsychedelic trance
Subgenres
Euro house, Euro techno
(complete list)
Fusion genres
Euro reggae
Regional scenes
EuropeCanada, Japan, Latin America, Australia, New Zealand, South Korea, Africa, Singapore, Malaysia, China (including Hong Kong and Macau), Taiwan, MexicoUnited States
Other topics
List of Eurodance artists

'유로 댄스(Euro Dance)' 혹은 '유로 디스코(Euro Disco)'는 단어가 의미하는 그대로 유럽 지역에서 인기를 얻은 춤추기 좋은 댄스 음악이나 디스코를 말한다. 그런데 댄스와 디스코 앞에 왜 '유로'라는 형용사가 붙는 것일까? 그것은 미국의 댄스, 디스코와 스타일이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럽의 댄스 음악은 미국의 그것에 상대적으로 멜로디에 더 역점을 두고, 드럼 머신이나 시퀀스를 사용한 리듬과 비트는 매우 반복적이다. 그래서 유로 댄스는 친근한 선율과 기계적인 사운드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여기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미 대륙에 비해서 유럽에 살고 있는 흑인의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다. 리듬과 비트에 있어선 최적의 인프라를 가지고 태어난 흑인들의 그 동물적인 바운스 감각을 음악 속에 끌어들이기엔 유럽에서 호흡하는 흑인들의 수가 대서양 건너편보단 턱없이 부족하다. 

다른 하나는 유로 디스코의 메카가 독일이라는 점이다. 경공업보다는 중공업이나 전자공업에 중점을 둔 독일의 이러한 국가육성정책은 음악에 그대로 나타난다. 독일 출신의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나 노이(Neu) 같은 뮤지션의 음악이 바로 인더스트리얼이나 전자음악의 선구자로 회자되는 것 우연이 아닌 중요한 포인트다. 드럼 머신을 이용한 유로 댄스 음악도 바로 이러한 구조에서 탄생한 줄기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미국의 디스코를 받아들인 유로 디스코의 중심지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독일(당시엔 서독)이다. 우리에게 친숙한 보니 엠(Boney M), 실버 컨벤션(Silver Convention), 아라베스크(Arabesque), 징기스칸(Dschinghis Khan) 그리고 영국 출신이지만 서독에서 활동했던 이럽션(Eruption) 등이 모두 이곳에서 뿌리를 내리고 인기를 얻었다.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60년대 후반 서독에 정착한 '디스코의 여왕' 도나 서머(Donna Summer)는 미국에서 인기를 얻기 전인 1970년대 중반까지 서독의 뮌헨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그 당시 유로 디스코를 '뮌헨 사운드'라고도 했다(마치 '필라델피아의 사운드'나 '멤피스 사운드'처럼). 훗날 도나 서머는 유럽의 댄스음악과 미국 디스코의 통로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멜로디가 뚜렷하며 반복적인 리듬이 특징인 유로 댄스는 미국보다 빨리 1970년대의 디스코텍과 작은 클럽에서 유행했던 테크노와 하우스 뮤직 등의 스타일을 폭넓게 받아들였다.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우리 귀에 쉽게 들어오는 장점을 소유하고 있는 유로 댄스는 그 체질상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노래를 부른 가수나 뮤지션보다는 그 음악을 주도한 프로듀서나 제작자가 더 중요하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앨범보다는 한 두 곡의 단발 싱글로 승부수를 띄우기 때문에 원 히트 원더(반짝 히트)가 많다는 점이다.

유로 디스코의 핵폭발을 가져온 대표적인 인물은 작곡가 겸 프로듀서인 조르지오 모로더(Giorgio Moroder)와 프랭크 파리안(Frank Farian).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조르지오 모로더는 도나 서머가 부른 'Love to love you baby', 'I feel love', 'Heaven knows' 같은 노래들로 1970년대 중반에 전 세계를 평정한 독보적인 주인공이다. 나중엔 블론디(Blondie)의 'Call me', 베를린(Berlin)의 'Take my breath away', 아이린 카라(Irene Cara)의 'Flashdance... what a feeling', 영화 <미드나이트 익스프레스>의 사운드트랙 등을 맡아 디스코에만 머물지 않았다. 그리고 특기할 것은 서울올림픽의 공식 주제가로 1988년 그해 독일 차트의 정상을 차지하기도 했던 코리아나(Koreana)의 'Hand in hand'를 작곡했다는 사실! 한국과도 관련이 있어서 더욱 잊을 수 없는 인물이다. 

순수 게르만 혈통의 프랭크 파리안은 지금까지도 레게 디스코의 원형으로 그 이름이 보존되고 있는 보니 엠과 팝 역사상 가장 커다란 사기 사건의 장본인인 밀리 바닐 리(Milli Vanilli),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인기를 얻은 라 부시(La Bouche) 등을 발굴한 제작자로 조르지오 모로더보다는 덜 언급되지만 빼놓아선 안 되는 중요한 사람이다. 

독일 외에 유로 디스코 문화에 커다란 역할을 한 또 다른 유럽 국가는 바로 프랑스다. 디스코 음악에 맞춰 춤추던 장소를 일컫는 디스코텍은 바로 불어 'Discotheque'에서 유래된 것으로 원래는 프랑스어로 레코드 케이스나 레코드 수집 실을 뜻하지만 미국으로 건너오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디스코텍으로 그 의미가 정의되었다. 그 정도로 디스코는 미국에서 발생된 음악이지만 유럽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했기 때문에 전 세계적인 문화 아이콘으로 파고들 수 있었다.

스페인의 여성 듀엣으로 'Yes, sir I can boogie'의 바카라(Baccara), 'Sun of Jamaica'의 굼베이 댄스 밴드(Goombay Dance Band), 'Sexy music'의 놀란스(Nolans), 'Wanted'의 둘리스(Dooleys)도 1980년을 전후한 시기에 국내에서 많은 인기를 누린 그룹들로 유로 디스코의 대표적인 팀들이다. 

하지만 디스코의 열기가 급속히 식으면서 유로 디스코란 단어 대신 좀 더 포괄적인 단어인 '유로 댄스'라는 단어에 귀속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얻은 모던 토킹(Modern Talking), 런던 보이스(London Boys), 조이(Joy)부터 1990년대 미국에서도 성공을 거둔 리얼 맥코이(Real McCoy), 에이스 오브 베이스(Ace of Base), 아쿠아(Aqua), 투 언리미티드(2 Unlimited), 라 부시, 블랙 박스(Black Box), 에펠 65(Eiffel 65) 등이 여기에 속하고 호주 출신의 미녀 가수 카일리 미노그(Kylie Minogue)의 노래도 유로 댄스 스타일을 따르고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Euro_disco_artists




http://www.youtube.com/watch?v=MA4RbupgMLw  





google.com


discogs.com


youtube.com


http://www.danceforum.ru/



http://www.italo-disco.net/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1:02

폴란드... 공산정권 몰락과 함께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가장 먼저 이름을 알린 이나라 가수는 바시아(Basia)다.

1987년 데뷔앨범 < Time & Tide >에 수록된 'New Day For You'와

타이틀 곡 'Time And Tide'의 연이은 히트로 인해서 바시아는

단숨에 유럽 시장을 석권했다.

바시아는 아마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알려진 폴란드 팝 가수이기도 할 것이다.

바시아의 뒤를 이어서 1990년대 초반부터는 폴란드의 독특한 댄스 음악 장르인

'디스코 폴로(Disco Polo)'가 유럽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디스코 폴로는 결혼식장, 축제 때 흥겹게 연주되던

폴란드의 전통 음악이 이탈로 디스코(Italo Disco)와 퓨전된 음악 스타일이다.

 

유로 댄스 음악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친숙한 용어인 이탈로 디스코도

그중 하나의 주류인데 1980년대 미국의 디스코가

이탈리아로 건너와서 보다 대중적으로 바뀐 장르로 보면 되겠다...

 

바이에르 풀(Bayer Full), 보이스(Boys), 톱 원(Top One),

샤자 (Shazza) 같은 팀들이 디스코 폴로를 대표하는 그룹들이다...

 

  

Basia (Disco Polo) - Biala Mewa



==---------



http://www.youtube.com/watch?v=8r_1e7Nvuaw







google


amazon.com

Discogs


cdbaby


cduniverse


youtube.com


http://music-releases.com









디스코 리듬 , 폴란드어 ,  폴란드 전통음악 [ 축제나 , 결혼식에서 쓰이는 ,




 It was derived from the DiscoEuro disco contemporary folk tunes influenced by Italo disco and Polish folk songs (mostly somewhat vulgarised ones played at weddings and feasts) and italo disco


http://disco-polo.pl/

 http://www.discopolo.fm/news.php

http://www.discostrefafm.info/news.php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7. 10:44

Afro/Cosmic
Stylistic originsFunk
Dance
Electro
Jazz rock
Brazilian music
Cultural origins1970s, Northern Italy
Typical instrumentssynthesizers • drums •percussions
Derivative formsSpace DiscoSueño Latino

1960년대 말 R.무그에 의해 신시사이저(synthesizer)라는 전자회로를 응용한 건반악기가 개발되자, 록뮤지션들은 신시사이저를 응용한 스페이스사운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 음악에서는 특히 유럽계 뮤지션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서독의 4인조 클라프트 베르크프랑스의 디디에 마루아니, 장 프랑수아 자르, 그리스의 반제리스 등이 스페이스사운드, 별칭 우주음악(cosmic music)으로 록뮤직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





-----





http://www.cosmicdisco.co.uk/



http://cosmic-disco.com/



google


amazon.com

Discogs


cdbaby


cduniverse


youtube.com


http://music-releases.com






/////////////////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6. 18:24
jjjjjjjjjjjjjjjjjjj
  • Manu Dibango "Soul Makossa
  • http://www.youtube.com/watch?v=w2jYjUiulMQ  72년 처음  나온 디스코 송 


    •  
      • Disco
      • Stylistic origins
      • Cultural origins
      • Typical instruments
      • Derivative forms
      • Subgenres
      • Fusion genres
      • Regional scenes
      • Other topics
       업비트 흥겨운 다운비트 - 쳐지는    <사전적 > 
    • 1. 음악 

    • 1970~80년대 유행한 훵크(Funk)에서 파생된 댄스음악의 장르로 빠르고 경쾌한 리듬이 특징.
    • (백금디스코?) 훵크 음악이 점점 업비트<흥겨운>가 강해지면서 더이상 훵크의 범주에 엮을 수 없게 되자 

    • 이러한 업비트의 빠른 훵크 음악을 "디스코"라고 칭하게 되었다. 단어 자체는 디스코텍에서 파생되었다.

    • 디스코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 형성된 것으로 보여지며, 미국 동부의 뉴욕과 

    •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당시 미국의 지배적인 음악은  음악이었는데, 

    • 디스코는 이러한 록음악의 지배적인 분위기와 댄스뮤직에 대한 지나친 멸시에 대한 

    • 반작용으로 출현한 점도 있다. 락부심 반대 음악

    • 당시 미국은 1960년대 후반의 혁신적인 분위기로 인해 보다 쾌락적인 부분에 대해 

    • 이야기하는것이 더이상 금기가 되지 않았고, 

    • 디스코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 아이작 헤이즈나 배리 화이트같은 뮤지션들은 초기 디스코 음악의 확립에 기여했다.

    • 디스코는 소울훵크라틴음악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 그래서 디스코 밴드는 어마어마한 숫자의 인원을 자랑하기도 한다. 

    • 드럼, 베이스, 기타, 보컬의 기본 구성 외에 오르간(때로는 오르간이 두명),

    •  브라스 섹션(트럼펫, 트롬본, 색소폰 등등등), 타악기주자(봉고, 우드블럭, 카우벨 등등), 

    • 여성 코러스(...)등 밴드가 한번 움직이려면 버스 한대가 필요하기도 하다(...).

    • 음악적으로도 당시 점점 세분화되고 복잡해져가고 있던 

    • 대중음악(프로그레시브 록등등)의 흐름에서 일부만 차용했다. 비트는 분명 세분화 되어서 

    • 드럼 자체는 엄청나게 그루브해졌지만 나머지 멜로디를 담당하는 악기가 

    • 다소 단조로워지는 경향이 있다. 

    • 당시로서는 그렇게 많이 쓰이지 않았던 16비트를 많이 사용한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 또한 음악 자체가 일종의 공식화가 되어있어서 16비트 드럼비트에 업비트 베이스라인을 끼워 맞추면 어떤 곡이든 디스코로 변형시킬수 있는 마법의 음악이기도 하다(...). 노래방에 가서 리모콘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반주를 디스코로 바꿔주는 버튼이 있는데, 이걸 켜보면 마법을 체험할 수 있다....

    • 일단 이 음악은 당시의 사회분위기에 비해 "지나치게" 말초적인 음악이었고, 댄스뮤직에 대한 당대의 거부감도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게이 클럽이나 일부 제한된 사이키델릭 클럽, 히피 클럽의 플레이리스트에 오르곤 했다. 이러한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주목을 받게 되고 나서 메인스트림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1974년경이나 되어서의 이야기다.[1] [2] 그리고 당시로서 당연한 반응이지만, 평론가들은 이 음악을 저속하다고 엄청나게 깠다. 그리고 30년뒤에 한 문화로 재조명된다

    • 이전에는 위의 이유들로 인해 이래저래 경박하고 품위없다는 이미지가 강해 하는 사람만 하는 비주류 문화였으나, 1977년 12월 개봉된 '토요일 밤의 열기 (Saturday Night Fever)'라는 영화와 동시기에 발매된 사운드 트랙이 베스트 셀러를 기록하며 '디스코'라는 장르가 전 세계적으로 히트하게 된다.

    • 흑인들이 유행시킨 음악중 하나이고 위에 써있는 바 대로 게이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1979년도에 디스코 폭파의 밤 사건이 일어나 디스코 관련 상품을 불태우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고, 점점 인기를 잃어갔지만 음악 자체의 영향력은 시대가 지나면서 일종의 복고 열풍으로 인해 재조명되었다. 현재는 과 댄스뮤직이 섞이면서 디스코스러운 소스를 많이 차용한 곡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상황.

    •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독자적으로 발전하여서, 나중에 Nu-NRG, Hi-NRG, 해피 하우스, 유로비트등의 장르로 발전하였다. 이탈로 하우스가 유로비트의 조상이라고 하면 믿겠는가? 사실 유로비트를 느리게 하면 후기 이탈로 하우스와 비슷해진다.

    • 디스코 복고 열풍 이전에 디스코 시대 이후의 Hi-NRG와 쌍벽을 이루는 과도기적 음악으로 포스트 디스코(후기 디스코)라는 음악 장르가 존재했었다. 하지만 포스트 디스코는 소울과 재즈를 강조함으로서 [3][4]현대 R&B나 네오소울, 소울풀 하우스와도 비슷한 느낌이다.

    • 유명한 디스코 퀸으로 아만다 리어도나 서머가 있다.

    • 대한민국에서 유행한 시기는 1978년부터이다. 원래 1975년경부터 비지스를 비롯한 다양한 디스코 그룹들이 소개되었으나 당시 일명 "다운타운 디제이"[5]들 사이에서 유행했을 뿐, 대중적인 인기는 없었지만 1978년 존 트라볼타의 토요일 밤의 열기가 유행한 이후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 --------



    • google

    • amazon.com
    • Discogs

    • cdbaby

    • cduniverse

    • youtube.com

    • http://music-releases.com





    • 000000----------


    • http://www.facebook.com/pages/DiscoMusiccom/88895938509

-------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3. 4. 26. 18:06

펑크와 힙합을 섞고 , 브레이크비트의 결합 


Nu funk


http://www.youtube.com/watch?v=pAJY9Lr4cHo


---------------




google


amazon.com

Discogs


cdbaby


cduniverse


youtube.com


http://music-releases.com






posted by 人心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