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 2011.03.26 :: 전공서적 능동적으로 읽기
- 2011.03.26 :: 뇌를 길들이기
- 2011.03.26 :: ㅇ
- 2011.03.26 :: 필기방법 책
- 2011.03.26 :: http://www.ksrc.or.kr/~socialissues/
- 2011.03.26 :: as
- 2011.03.26 :: aasdg
- 2011.03.25 :: 논리학
- 2011.03.25 :: 행정고시
- 2011.03.25 :: 공무원 직렬당 다른 것
전공서적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많은 이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소설책을 읽듯이 주욱 읽다가 중간에 지루해져서 포기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극도의 인내심을 발휘해서 마지막 장까지 읽었다 해도 일단은 책표지를 덮고 나면, 무엇을 읽었는 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할 것이다. 전공교재같이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텍스트를 다룰 때, 다음에 소개하는 PQ4R방식을 사용해보면, 읽는 과정이 흥미로워지며, 글에 대한 이해와 기억도 훨씬 좋아짐을 알게 될 것이다.
PQ4R(preview, question, read, reflect, recite, review)전략은 우리가 글을 읽을 때 단순히 읽어내려가기 보다는 자신이 정한 목적에 따라 능동적으로 읽어야 하며, 글을 읽기 전과 읽은 후에도 이에 적합한 노력을 기울여야함을 강조한다.
1) 예습(preview): 학습할 교재의 목차를 훑어보고, 주제가 되는 장, 절과 소제목등을 살펴본다. 처음부터 이해하려 들지 말고 그냥 대강 읽는다.
2) 질문(question): 자신이 읽고자 하는 부분에서 알아야 할 중요한 학습문제를 중심으로 질문목록을 만들어본다.
3) 읽기(read): 앞에서 제시한 문제의 해답을 찾는다는 생각으로 주의깊게 읽는다.
4) 숙고(reflect): 읽은 내용과 연결지을 수 있는 구체적인 예를 생각해보고, 사전지식과 관련시킨다.
5) 암송(recite): 교재를 덮고, 읽은 내용에 대해 한 번 기억해본다. 자신이 작성한 질문목록에 대해 답할 수 있는 지 보고, 해답을 말할 수 없을 경우엔 해당부분을 다시 찾아 읽는다.
6) 복습(review): 학습한 내용을 요약하고, 이 장의 주요학습문제에 대해 다시 대답한다.
지금까지 시험을 대비해서 수업교재를 읽을 때, 글의 내용을 머릿속에 그냥 복사하려만 들었다면, 오늘부터라도 한 번 PQ4R방식을 활용해보도록 하자. 아무리 어렵게만 보이는 전공서적도 자신이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두뇌의 정보처리과정은 달라진다. 어려운 전공용어나 설명에 끌려다닐 수 밖에 없다는 소극적인 독서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스스로 자신이 읽는 과정을 통해 꼭 해답을 찾아야만 하는 질문을 스스로 제시해보며, 책으로부터 얻은 지식이 실제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지, 자신이 이미 알고 있었던 내용과 어떻게 연관지을 수 있는 지를 끊임없이 생각한다면, 멀게만 보이던 전공서적도 과연 내 것이 될 수 있다.
글쓴이 : 노트필기수…
조회 : 872
|
한창 학창시절 나름 공부한다고 설쳐봐도 성적이 오르지 않을때 외치던 말..
▲‘아날로그’를 잊지 마라 ▲오감을 자극하라 |
공직자적성검사 (PSAT)는
언어논리, 자료해석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논리학 입니다.
시중에 대형 서점에 가셔서 편집, 내용이 맘에 드는 것으로
하나 고르셔서 독파하시기 바랍니다.
논리학에 대해 감이 좀 잡히시면 다음 단계로
미국대학원입학시험(GRE)문제를 구해서 풀어봅니다.
PSAT언어논리는 기본적으로 GRE를 기반으로 제작된 시험이니만큼
큰 도움이 될 겁니다.
PSAT는 인문 사회 자연 할 것없이 다양한 주제가
지문으로 출제됩니다.
따라서 신문을 우선 꼼꼼히 읽어보면서
비판하고 자기 나름의 언어로 재해석하는 능력을 키우세요
대형 서점에 가면 PSAT를 위해 다양한 읽을 거리를
모아 놓은 책을 팔고 있습니다.
그 책을 사서 읽어보는 것두 괜찮죠.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도 연예인 성형 이야기만 할 게 아니라 ~^^;;
상반되는 입장에 서서 상대를 논박하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서관 연속간행물실에 가면 다양한 경제 관련 잡지가 있을 겁니다.
그 잡지에 보면 경제변화에 대한 그래프와 도표가 많이 나와 있는데
이런 것을 자주 보면서 눈에 익히도록 하세요.
시나브로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제 아이디를 눌러보면 제가 했던 답변들이 있는데
그것을 참고해도 괜찮으시겠네요~^^
더 궁금한 점은 쪽지 주세요~
행정고시란~~
행정고시란, 정부의 중추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관(5급)을 선발하는 시험이다.
행정부 소속 공무원의 직위는 9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들을 선발하는 시험에는
9급시험과 7급시험, 5급 공무원을 선발하는 행정고등 고시가 있다.
공무원 임용 시행령에 의하면 많은 직류로 나뉘어져 있으며,
일반행정직, 법무행정직, 재경직, 교육행정직, 사회복지직, 검찰사무직, 교정직,
보호관찰직,출입국 관리직 등이 있다.
행정고시 1차 PSAT (공직적성검사) = 언어논리, 상황판단, 자료해석, 영어
#영어는 자격 요건으로 토익 등의 공인 인증 시험의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응시 가능 한 형식..ㅎㅎ
행정고시 2차 = 각 직렬별로 각각 다름 (필수 4과목과 선택형 1과목을 보셔야 함)
ex) 일반행정직=필수 (행정벅,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 선택(민법, 정책학, 국제법 등.. 中 1과목선택)
1차 시험의 경우 매 과목 40점 이상..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이 합격함
(ex> 언어논리39점, 상황판단 80점, 자료해석 61점, 평균 60점 => 불합격) OK??
2차 시험의 경우 매 과목 40점 이상 득점 자 중에서 고득점자 순으로 선발 예정인원의 13할 정도를 선출
3차 심층 면접을 통해 당락 결정됨..
시험 형식은 1차의 경우에는 선택형 필기시험 (흔히 말하는 객관식)
2차의 경우에는 논술형 필기시험
추가적으로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알아봐 드릴께요~~ (능력 한도 내에서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