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 2013.08.24 :: Puirt a beul
- 2013.08.24 :: Ca- Waulking song < 스코틀랜드 민요>
- 2013.08.24 :: ce - Pibroch
- 2013.08.24 :: Ce - Reels
- 2013.08.24 :: Ce - Strathspey < 스코틀랜드의 느리고 쾌활한 춤곡 >
- 2013.08.24 :: Celtic music <Celtic traditional music <Celtic traditional music >
- 2013.08.15 :: Cello rock and cello metal
- 2013.08.14 :: christian EDM with Christian themes
- 2013.08.13 :: C C M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 2013.08.13 :: Carnatic <인도 > 음악
보통 , 가벼운 장르에 노래는 연예 , 성적이고 음탕한 가사로 채워지지만 떄로는 의미없는 발음으로 메꾼다
Puirt_à_beul 의 경우 노래의 리듬과 소리가 가사의 의미보다 자주 중요한경우가 됩니다
uirt beul의 잘 알려진 영화에서 노래는 Brochan Lom
www.youtube.com
http://en.wikipedia.org/wiki/Puirt_%C3%A0_beul
http://www.discogs.com/Iain-MacKintosh-Encore/release/4545980
스코틀랜드 지방에 전하는 백파이프*의 곡. 우를라르(urlar)라고 불리는 주제와 매우 고도하게 꾸며진 변주로 이루어진 것. 테마는 엠, 달리, 딜리 등이라고 불리는 선율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선율형의 명칭에 따라 면밀한 기보가 행해지고 있다.
=====
- piobaireachd.co.uk by The Piobaireachd Society
- pipetunes.ca by James McGillivray
- piob.info by Ross Anderson
- www.tobarandualchais.co.uk — 30,000 oral recordings from the 1930s onwards
- William Donaldson’s Set Tunes Series
- Articles by Barnaby Brown
- Piper’s Persuasion Interview of Allan MacDonald
- Interview with William Donaldson on the publication of the 2013 Set Tunes
- Foreword to Dastirum
- Bagpipe music manuscripts in the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William Donaldson
- Allan MacDonald
북유럽에서 시작된 4분의 4박자의 댄스곡으로, 현재는 브리티시와 아일랜드에서 많이 춘다. 댄스 곡인 동시에 댄스 자체이기도 하며 8자로 움직이는 피겨에 특징이 있다.
http://www.bbc.co.uk/scotland/music/index.shtml
http://www.ceilidhsoc.org/
http://thesession.org/
http://www.celticscores.com/type/Reel/
느리면서 쾌활하다 ,
느리다가 빨라지다가 , 경계를 잘 넘는다
http://my.strathspey.org/dd/dance/314/
http://www.siliconglen.com/culture/gaelicsong.html
http://www.strathspey.org/
http://www.aberdeenstrathspey.org.uk/
Celtic은 셀틱 또는 켈틱 [séltik, kéltik] 의 두 가지 발음이 있는데 원칙적으로 해당국가의 발음에 따르는 것이 표준이라지요.
아일랜드에서의 발음이 어떤 것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만 국내에서는 켈틱이라고 많이 부르는데 아마 미국식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Pan-Flute
인권 (The Rights of Man)
아일랜드 특유의 아름다운 전통문양과 함께 듣는 셀틱뮤직
Lord of the Dance - Gypsy
탭댄스는 집시들과 함께 스페인으로 건너가서 플라멩코 댄스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유명한 켈틱 뮤직 그룹 Celtic Woman의 Scarborough Fair
'Celtic Woman' 의 새로운 멤버인 Hayley Westenra가 아일랜드의 슬레인성에서
스코트랜드 군대 행진곡 'Scotland the Brave'
스코트랜드 군대의 용감무쌍한 군기가 백파이프 연주 속에 흘러넘쳐 보입니다.
- 켈트음악 MP3 무료 다운로드 사이트 : http://www.celticmp3s.com
켈트음악의 발전
<원문 : http://blog.daum.net/myloverkunkim/2220480>
켈트음악은 아일랜드를 비롯한 프랑스,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 북부에서 성행했던 켈트족의 전통 음악이다.
이것이 휘슬과 피들로 상징되는 아일랜드 음악(Irish Music)으로서든, 백파이프 또는 가이타가 사용되는
스코틀랜드와 갈리시아 지방의 지엽적 음악으로서든, 켈트 음악은 월드 뮤직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장르가 되었다.
(Gaita :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백파이프의 일종. 카를로스 누니에스 등이 연주하는 악기)
그러나, 월드 뮤직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80년대 후반의 유럽 등지의 상황을 고려할 때,
월드 뮤직이라는 장르적 정의가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켈트 음악은 유럽인들과 유럽인들이 신대륙으로 이주해 만든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랑받았던 음악 장르이다.
영미권 팝, 록 음악에서 두각을 나타낸 수많은 아일랜드 출신 아티스트들을 살펴보자.
게리 무어(Gary Moore), 씬 리지(Thin Lizzy), 유투(U2) 등은 분명 켈트 음악을 연주하던 아티스트들은 아니었지만,
이들의 음악이 유독 록필드에서 독특한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이 형식적으로는 록음악의 모양을 안고 있었어도
그 속에서 흐르는 아일랜드 사람들의 정서가 '시끄럽고 장황한' 하드 록이나 메틀, 모던 록이라는 테두리 안에서도 유독
빛났기 때문이리라.
이들을 아일랜드 - 켈트 음악의 원시적 형태로 따로 차치하더라도, 이후 7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낸 수많은 영미권
팝음악시장에서의 아티스트들을 살펴보면, 켈트 음악의 약진은 더욱 두드러진다.
로리나 맥케닛(Loreena McKennitt), 시니어드 오코너(Sinead O'Conner), 매리 블랙(Mary Black), 엔야(Enya) 등을
편의상 '메인 스트림'으로 분류한다고 해도, 트리 얀(Tri Yann), 클라나드(Clannad), 알탄(Altan), 치프턴스(Chieftans),
알랑 스티벨(Alan Stivell), 카를로스 누니에스(Carlos Nunez) 등은 분명 켈트 음악의 선봉으로서 켈트 뮤직의 성격을
정의 내릴 수 있는 켈트 음악 전문 아티스트들이다.
이들은 아일랜드 출신 선배들의 록-하드 록-헤비 메탈이라는 양식보다, 보다 본질적으로 켈트 음악을 이해하고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음악들을 선보였던 사람들이다.
아일랜드-켈틱 하프나 휘슬, 피들 등의 켈트 전통 악기들을 사용해 목가적이고 전원적이며,
또한 사람들이 가장 이해하기 쉬운 개념인 '신비함'을 안고 있는 음악들을 최근 수십 년 동안 선보였던 사람들이다.
이들의 노력으로 인해 켈트 음악은 대중 음악의 주류로 편입되었고, 사회 문화의 다양한 발전을 통해
대중 음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들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편성을 거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서 더 코어스(The Corrs)를 비롯한 수많은 대중 음악 밴드들은 현대 켈트 음악의 제 4세대로서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
http://musicacelta.net/
http://www.allcelticmusic.com/
http://www.celticscores.com/
http://www.celticscores.com/
//
http://en.wikipedia.org/wiki/Celtic_music
worship 기도
///////////
http://en.wikipedia.org/wiki/Contemporary_Christian_Music
......////////////
www.amazon.co.uk/
http://en.wikipedia.org/wiki/Contemporary_Christian_Music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hristian_worship_music_artists
'
http://www.todayschristianmusic.com/
http://www.christianforums.com/t1162520/
http://ccmforum.com/tag/addison-road/
--------
현대 인도의 전통음악은 북부의 힌두스타니HINDUSTANI와 남부의 카르나틱CARNATIC스타일로 구별된다.
음악적 형태는 현존하는 음악의 문자그대로의 원천에서부터 바랕-나탸샤스트라
BHARAT-NATYASHASTRA에서의 모든 해석에서 얻어진다.
카르나틱 음악의 특징
카르나틱 음악은 인도의 남동쪽에 있는 까르나따까(Karnataka) 주에서 주로 발달하였다. 이곳은
16세기부터 약 200년 동안 인도를 지배했던 회교국가 무굴제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곳으로서 보다
순수한 힌두교를 볼 수 있는데, 이 주의 이름을 따서 뭄바이와 하이데라바드를 잇는 선의 남쪽 지방의
음악을 카르나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지역의 음악언어는 텔루구(Telugu)어와 타밀(Tamil)어이
다. 그 중에서 텔루구어가 보다 더 중요하다.
=======
http://en.wikipedia.org/wiki/Carnatic_music
http://www.indiamusicinfo.com/profiles/carnatic/gjrkrishnan.html
amazon.co.uk
discog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