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 2013.09.24 :: Chicago blues 시카고 블루스
- 2013.09.24 :: Children's music
- 2013.09.24 :: Chèo
- 2013.09.24 :: Chầu văn 베트남 트랜스 음악
- 2013.09.24 :: chastushka
- 2013.09.24 :: Charikawi 가리푸나 족의 전통음악
- 2013.09.24 :: Charanga
- 2013.09.24 :: 샹송 chanson
- 2013.09.24 :: Changui
- 2013.09.24 :: Chalga
1940년대에 시카고 남부에서 나타나 시카고 블루스라고 불리는 이 음악
.........,,,,,,,,,,,///////////
설명 2
다른사이트
http://xlx.kr/wing/board.php?board=myhomeboard&category=12&command=body&no=443&command=body&no=443&body_only=y&button_view=n
Chicago Blues(Electric Blues)
시카고 블루스는 일렉트릭 블루스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야 간단히 '전자 기타' 가 본격적으로 쓰여졌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블루스에 매력을 느껴 자주 듣기 시작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시카고 블루스에서 그 시작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시카고 블루스는 국내외적으로 상당히 대중적인 블루스 중에 하나이다. 시카고 블루스는 남부 시골(루이지애나, 미시시피 , 텍사스)에서 활동하던 블루스 맨들이 도시로 진출하여, 그 곳 생활에 익숙해지면서 생겨난 블루스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시끄러운 bar나 클럽에서 정기적이고, 직업적인 연주가 이루어지곤 하였다. 이전의 블루스는 대개 어코스틱 기타를 사용했으나 30년대 시카고에 활동하던 블루스맨들은 처음으로 일렉 기타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중음악에 일렉 기타(특히 솔리드 바디를 한 일반적인 Fender 기종)가 등장했다는 것은 대중음악 역사 전반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사건 중에 하나이다.
넓은 홀이나 클럽에서 울려 퍼지는 어코스틱 기타 사운드는 많은 청중을 만족시키기에는 극히 미흡하였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증폭된 사운드가 가능한 일렉 기타를 사용했다고 볼 수 있는데(단순한 사운드 증폭은 일렉 기타 이전에도 가능했다고 한다.) 일렉 기타 개발이 이처럼 넓은 홀의 다수의 청중을 만족시키기 위한 동기로 개발되었을 수도 있고, 이미 개발된 일렉 기타를 시카고에서 활동하던 블루스맨들이 처음 사용한 것일 수도 있으나 그 시작의 정확한 관계는 알 수 없다.
미국의 30년대는 대공황임에도 불구하고 블루스는 당시 상당한 인기가 있었던 음악이었다. 뉴욕과 디트로이트, 시카고 등지에서 더욱더 인기가 있었고 시카고는 그 중에 최고였다. 이런 이유로 붙어진 또 하나의 이름이 흔히 'Urban Blues(도시적 블루스)' 라 하기도 한다. 이 도시 블루스의 특징이라면 컨트리 블루스의 요소와 도시적인 칼라를 적절히 융합한 절충주의의 형태를 띄고 있다. 여기서 도시적인 칼라는 아마도 재즈적인 이디엄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시카고 블루스는 컨트리 블루스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컨트리 블루스보다 발전한 형태이고, 악기의 사용도 기타 아니면 하모니카가 전부였던 컨트리 블루스에서 보다 다양해져서 시카고 때부터 피아노와 베이스 드럼 등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어 음악적인 테크닉 및 표현방식이 휠씬 다양해지기 시작한다.
30년대 중반부터 싹을 틔운 시카고 블루스는 40~50년대 접어들면서 화려한 꽃을 피우게 되면서 대중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후 60년대 블루스를 추종하는 많은 로커들을 양산해 내면서 'Blues Revival' 을 야기시키고, 록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그럼 대표적인 시카고 블루스 맨들은 누구인가?
Muddy Waters, Howlin' Wolf, Willie Dixon, Jimmy Reed B.B. King, T-Bone Walker, Jimmy Rogers, Elmore James, Otis Rush, Sonny Boy Williamson 등 실로 전설적인 블루스맨들이 40~60년대를 걸쳐 시카고에서 일렉 기타를 '무기'로 대거 대중 앞으로 나오게 된 것이다.
음악적 스타일은 역시 컨트리 블루스에서 좀 더 풍부해진 사운드와 테크닉이 눈에 띄고, 일렉 기타와 하모니카, 드럼 베이스 등 컨트리 블루스의 소박했던 모양에서 더 세련되고, 강해진 사운드를 느낄 수 있다. 특히, 50년대 중반 출현할 로큰롤의 냄새가 강하게 풍기고 있으며, 60년대 '브리티시 록'의 태동을 가져온 장르답게 브리티쉬 록의 뿌리가 무엇인지 감지할 수 있다.
youtube.com
discogs.com
google.com
amazon.co.uk
http://www.chicagoblues.com/
http://www.wdcb.org/
youtube.com
http://www.kidmusic.com/personalized-music-cds/
http://bestvideosforkids.com/page/2/
http://www.amazon.co.uk
itune
cdbaby
http://www.cduniverse.com
Chèo는 일반적으로 풍자와 뮤지컬의 형태로 춤과 노래를 포괄적으로 수행하는
베트남의 장르 중 하나이다
http://www.youtube.com/watch?v=Ry4Y8237IW8
Chầu văn
베트남의 트랜스 음악 ,
차우 반은 트랜스 노래와 춤이 결합한 베트남 북부의 전통 포크 음악으로
음악의 특지은 악기의 다양한 리듬 , 여러 템포들의 결합 등이다 , 차우반은 16세기에 시작되 그 뒤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주요 악기로는
Đàn nguyệt 또는 달 모양 류트 , 차우 반의 목적은 두가지가 보통인데
현대 베트남의 무당과 같은 존재라고도 볼수 있다
러시아의 바르드는 차스뚜쉬까(chastushka)라고 불리는 러시아 농촌의 민요를 발전시켰다는 것이 정설이다. 특히 비소쯔끼가 발굴해 낸 것은 차스뚜쉬까 중에서도 블라뜨나야 무지까(blatnaia muzyka)라는 전통이었다. 영어로 'criminal song', 'delinquent song'으로 번역되는 노래 형식이다. 말하자면 제정 러시아 시대부터 러시아의 농촌을 여기저기 전전하던 불한당들이 부르던 노래들이다. 비딸리 까네프스끼(Vitaly Kanevsky)의 영화 <Zamri, Umri, Voskresni(Freeze-Die-Come to Life)>(한국어 '의역': '얼지마!, 죽지 마!, 부활할 거야!')에서 중년의 술주정뱅이가 술병을 들고 흥얼거리는 노래가 블라뜨나야 무지까의 원형에 가깝다.
이런 노래의 영향을 받아서 만든 비소쯔끼의 작품이 소외되고 주변화된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었다. 술과 섹스, 감옥의 생활, 거리의 패싸움 등 '사회주의 체제에서는 있어서는 안 될' 일을 있는 그대로 적나라하게 묘사한 노래가 당국을 불편하게 한 것도 자연스럽다. 그의 목소리는 단지 저항의 이념을 내세운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심장을 파고드는 '진실의 전달자'였다. 그래서 그는 "내 노래의 멜로디는 음계의 단순합보다도 단순하다. 하지만 내가 진실의 어조를 잃는 그 순간부터 마이크는 채찍이 되어 내 얼굴에 흉터를 남긴다"고 말할 수 있었던 듯하다.
비소쯔끼는 러시아의 록 커뮤니티와 직접적 관계를 맺지는 않았지만, 1970~1980년대 러시안 록의 주역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듯했던 러시안 록은 비소쯔끼 같은 바르드의 기타 시가(詩歌)가 없었으면 태어날 수 없었던 것이다. 한국인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름을 들어봤을 '러시아의 마지막 영웅' 빅또르 쪼이와 그의 그룹 끼노(Kino)뿐만 아니라 그보다 연배가 높은 보리스 그레벤쉬꼬프(Boris Grebenshikov)와 유리 셰브추끄(Yuri Shevchuk)에 이르기까지.
비소쯔끼를 포함하여 이들의 이름은 1980년대라는 격변의 시기를 살아간 러시아인들에게는 매우 소중하게 남아 있다. 그런데 역으로 러시아인이 아닌 사람으로서 이들의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계급 없는 사회'에도 부정의와 억압이 남아 있음을 치열하게 고발한 영웅들의 업적은 시장의 냉혹한 명령에 묻혀버리고 말았다. 이건 아이러니인가, 필연인가.
//////////////
Charanga 는 원래 어원은 스페인에서 일반적인 유행음악을 연주하는 밴드를 지칭하는 말로
이후, 쿠바의 댄스음악(살사등)을 연주하는 악단의 한 형태로 널리 쓰이고 있는 단어라고 합니다.
물흘러가듯이 쉬지않고 스텝을 밟아야 하는 특징을 가진 라인댄스로
짧은 카운트인데다가, 빠르기도 어느 정도 여유가 있어 쉬울것 같지만
보기보다 익히는데는 만만치 않은 듯 합니다.
...................//////////////
살사에 플루트를 가미한 Charanga
샹송이라는 프랑스 말은 스페인의 칸시온이나 이탈리아어의 칸초네와 같은 어원을 갖고 있어, 가요라든가 노래를 의미한다. 프랑스의 파퓰러송을 모두 샹송이라 말해도 무방하지만, 전통적인 샹송에서는 다른 나라들의 노래와는 상이한 몇 가지 특징을 볼 수 있다. 흔히 샹송은 한 편의 드라마라고 일컬어지듯이, 가사가 이야기로 되어 있는 것이 많은 것도 그 특색의 하나이리라. 곡은 쿠플레(couplet)라는 스토리 부분과 르프랭(refrain)이라는 반복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일상 대화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알기 쉬운 말을 쓰고, 때로는 아르고(은어)를 섞어서 엮는다. 세계 각국의 파퓰러송 중에서도 샹송에서는 특히 가사가 중요시된다. 따라서 샹송 가수는 단지 멜로디를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사의 내용을 전하는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프랑스에서는 대부분의 가수가 음악 학교는 나오지 않았더라도 대개 딕션(화법) 공부를 하는데, 이는 바로 이것 때문이다.
그리고 소리가 아름답다든가 음악적으로 정확하다든가 하는 것보다, 오히려 그 곡을 어떻게 해석하여 개성적인 표현으로 듣는 이에게 전하는가 하는 점을 평가받는다. 이리하여 어떤 샹송을 처음으로 불러 성공시키는 것을 크레아시옹(creation)이라 한다. 이것은 창조라는 의미인데, 보통 초연이라고 번역된다. 샹송에서는 특히 이 크레아시옹이 존중된다.
즉 가수는 자기의 개성으로 샹송을 연기하고 부름으로써 작자와 공동으로 그 노래에 생명을 주는 역할을 한다고 간주된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한 번 크레아시옹된 샹송이 초연자 이외의 가수에 의해 다루어지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샹송도 외국의 노래와 같은 경향이 되어 크레아시옹의 의의는 약해지고 말았다.
ㅏㅏㅏㅏㅏ팝 포크 + 불가리어
Chalga 은 불가리안 음악장르이다
http://en.wikipedia.org/wiki/Chalga
Chalga | |
---|---|
Stylisticorigins | Bulgarian music, Serbian folk(Balkan folk),[1] Newly composed folk music, Arabesk music, Balkan Brass Band,Balkan pop, Dance-pop,Eurodance, Pop, Fusion (music) |
Cultural origins | 1980s Bulgaria |
Typical instruments | Guitar, Bass Guitar,Synthesizer, Keyboards, Drum Machine/Percussion, Sampler,Sequencer, Clarinet, Trumpet,Accordion, Šargija, Fiddle, as well as other folk instruments |
google.com
discogs.com
youtube.com
http://www.chalgabox.com/
http://balkania-fanzine.com/blog/
http://www.music-bulgaria.com/list.php?action=category&xid=29-Pop-Folk
www.brigada.nl
http://www.biad.bg/
http://www.bulgariancds.com/c/sl-e/p-l/cid-4/s-19/pop-folk-chalga-music.html
http://chalgatropolis.tumblr.com/post/16518478395/space-chalga-total-chalga-trance-call-it-how-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