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썰자마자 물에 담가 변색을 막고 떫은맛을 없앤다. ①가지는 썰어 두면 갈색으로 변하므로 물에 담근다. | ![]() ![]() |
|
![]() |
*감자 아린맛이 나는 싹부분을 말끔히 도려낸다. ①흙을 털고 깨끗이 씻어 야채칼로 껍질을 벗긴다. | ![]() |
![]() |
*고구마 적당한 크기로 잘라 껍질을 벗긴다. ①고구마는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껍질을 벗기는 게 편하다. | ![]() |
![]() |
*브로콜리 작은 송이로 나누어서 조리한다. ① 단단한 밑동을 칼로 잘라내고, 겉껍질을 두껍게 벗긴 후 세로로 얇게 썰어 샐러드에 넣는다. | ![]() |
![]() |
*셀러리 겉면의 섬유질을 벗겨내야 연하다. ①쑥갓처럼 생긴 잎부분을 떼어 낸 다음 줄기 끝에 칼을 대고 섬유질을 벗겨낸다. 떼어낸 잎부분은 그냥 버리지 말고 장식으로 이용한다. | ![]() |
![]() |
*쑥갓 찬물에 담가 시들해지지 않도록..... 흐르는 물에 살살 흔들어 씻은 후 잎만 떼어 찬물에 담가 둔다. | ![]() |
![]() |
*시금치 팔팔 끓는 소금물에 파랗게 데치는 게 포인트! ①흙을 잘 털어내고 밑동을 다듬는다. | ![]() |
![]() |
*아스파라거스 단단한 줄기 부분의 껍질을 벗긴다. ①야채칼로 단단한 줄기 부분의 껍질을 벗긴다. | ![]() |
![]() |
*양배추 잎 중심에 있는 단단한 심을 도려낸다. ①딱딱한 심 부분을 양쪽에서 칼로 도려낸다. | ![]() |
![]() |
*연근 식촛물에 삶아 하얗게... ①연근은 껍질이 두꺼운 편. 일반 칼이나 야채칼로 껍질을 두껍게 벗긴다. | ![]() |
![]() |
*컬리플라워 작은 송이로 나누어 식촛물에 삶는다. ①녹색의 겉잎을 떼어낸다. | ![]() |
![]() |
*토마토 껍질을 벗길 때는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친다. ①토마토 윗부분에 열십자로 칼집을 넣는다. | ![]() |
![]() |
*오이 소금에 비벼 씻어 색을 선명하게... ①도마 위에 굵은 소금을 뿌리고 오이를 여러 번 굴려 준다. | ![]() |
![]() |
*파슬리 잘게 다진 후 행주에 싸서 씻는다. 줄기 끝에 달린 송이를 하나씩 떼어 잘게 다진 후 깨끗한 행주에 싸서 물에 담가 씻는다. 행주에 싼 채 물기를 꼭 짜면 보슬보슬한 파슬리가루가 된다. | ![]() |
*피망 속과 씨를 도려낸다. ①모양내어 썰 때, 먼저 페트병 뚜껑을 꼭지 부분에 박아 넣어 속심을 뺀다. | ![]() |
|
*느타리버섯 갓쪽에서 기둥을 향해 찢은 후 팔팔 끓는 소금물에 살짝 데친다. | ||
*팽이버섯 단단한 밑동을 잘라낸 후 체에 담아 물에 가볍게 흔들어 씻어 건진다. | ||
*애느타리버섯 섬유소가 많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만점인 애느타리버섯. | ||
![]() |
*표고버섯 ①생표고버섯은 불리지 않은 상태에서 기둥을 잘라낸다. *마른 표고버섯 불리기 마른 표고버섯은 설탕을 넣은 미지근한 물에 |
1845년과 1851년 사이에 발생한 대기근으로 인해 아일랜드는 근대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 ‘거지의 나라’라는 오명을 얻었고, 1백만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미국과 캐나다로 이주하는 등 심각한 국가적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아일랜드어를 써오던 사람들이 줄어들고, 영어를 사용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문화적 손실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고난은 현재 유럽연합(EU)의 평균소득에 비해 115%를 상회하는 비약적인 경제발전으로 극복되었으며 문화의 정통성 또한 해외로 이주한 동포들에 의해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다.
4백만명의 적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의 대중음악은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 있다. 록그룹 U2, 아일랜드 대중음악의 대부로 불리는 밴 모리슨, 켈트문화의 신비를 전파한 엔야, 개성파 가수인 시네이드 오코너 등 국제적인 활동무대를 지닌 이들로 인해 팝음악의 주도국가로 급부상했다. 이밖에도 크렌베리스, 메리 블랙, 보이 존 등이 명성을 날리고 있지만 그 누구도 ‘아일랜드의 국보’로 불리는 치프턴스의 위엄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 1962년에 결성된 이들은 아일랜드의 소중한 유산인 아이리시 포크를 부흥시킴은 물론, 문화대사로 활동하며 영롱한 선율을 전 세계에 알린 업적을 이뤘다. 6회에 걸쳐 그래미상을 받을 만큼 뛰어난 음악성을 지니고 있으며, 많은 뮤지션들로부터 무한한 존경을 받고 있는 ‘아일랜드 음악계의 영웅’이라 하겠다. 가장 아일랜드적인 선율로 세계인의 감성을 두드린 또 다른 음악인들로는 클랜시 브라더스, 메리 오하라, 클라나드, 션 오리아다, 크리스티 무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페니 휘슬, 콘서티나(작은 아코디언), 율리언 파이프(Uilleann Pipes), 보란(북의 일종) 등과 같은 전통악기의 혼을 계승하고 있으며 현대적인 감각으로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만돌린, 부주키, 피들을 비롯한 외부의 악기들 역시 아일랜드의 음악정서에 높은 밀도로 동화되었다. 이러한 요소는 오랜 세월을 통해 숙성된 아일랜드 전통음악의 또 다른 매력이자 폭넓은 공감대로 작용하고 있다. 민요와 춤이 결합된 ‘리버댄스’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춤곡 ‘릴(Reels)’은 사회적 쟁점에 대해 치열한 논쟁을 벌이다가도 음악과 춤으로 돈독한 유대감을 이루는 아일랜드인들의 성향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일단 파동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종류는 횡파(=P파=소밀파),종파(=S파=고주파(?))
매질(파동이 진동시킬놈)이 있어야 하며 어느 한부분에서 일어난 진동이 주위로 전달되는 것
단 매질은 이동하지않으며(에너지만 이동) 진동만 한다 (요놈 중요)
파장:매질이 한번 진동할때 파동이 진행한거리
마루:진동할때의 가장 윗부분
골:진동할때의 가장 아랫부분
진폭:마루에서 골까지의 수직거리
진동수:매질이 1초동안 진동한 횟수
주기:매질이 일회 진동시 걸리는 시간
소리
매질:고체<액체<기체<진공(단, 진공은 매질이 없으므로 패스) (300m/s~5000m/s)
빠르기를 나타냄 (참고로 빛은 반대입니다)
종파의 한종류로 진행방향과 진동방향이 평행한(용수철을 당기고 놓고 하는것)파임
소리-파동의 관계
소리는 파동의 일종으로 매질을 진동시켜 소리에너지를 전달하는 형식의 파입니다
우리몸의 감각기관은 귀! (이지만 강한 소리는 피부로도 느낄수있음 ex)폭탄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