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56건

  1. 2014.06.08 :: cretan 크레타 음악
  2. 2014.06.08 :: Cowpunk
  3. 2014.06.08 :: Coupé-Décalé
  4. 2014.06.08 :: Country pop
  5. 2014.06.08 :: Country rock
  6. 2014.06.08 :: Country rap
  7. 2014.06.08 :: contry music
  8. 2014.06.07 :: Country blues
  9. 2014.06.07 :: Corrido 꼬리도
  10. 2014.06.07 :: Cool jazz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14:11

크레타 섬의  주민들이 연주했고 연주하는   그리스 포크 음악의 


 한 형태


크레타<사투리> 도 있대용 



  • Greek folk music performed by inhabitants of the island of Crete



http://en.wikipedia.org/wiki/Music_of_Crete

http://www.youtube.com/watch?v=GWz3gTQo5LA

http://www.crete-kreta.com/

http://www.we-love-crete.com/cretan-musicians.html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13:26

Cowpunk 또는 Country punk 라 불리는 이것은 


1970년대 후반 ~ 1980년 초반  UK 와 캘리포니아에서 



  펑크락 또는 뉴웨이브가 컨트리 , 포크 그리고 블루스와  함께  소리 


주제 태도 스타일을 연결시켜 만든것 

   

http://en.wikipedia.org/wiki/Cowpunk

http://www.discogs.com/


Cowpunk
Stylistic originsPunk rock,[1] new wave,[1]southern rockroots rock,countrycountry rock
Cultural originsLate 1970s United Kingdom and early 1980s Los Angeles
Typical instrumentsVocalselectric guitarbass,drums
Derivative formsAlternative country
Fusion genres
Psychobilly - Gothabilly - Southern metal



fffffffffff

ㅓㅓㅓㅓㅓㅓㅓㅓㅓ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13:00
'''''



Coupé-Décalé
Stylistic originsZouglouZoukTechnoTribal housebouyon music
Cultural originsearly 2000s, Côte d'IvoireParis,France
Typical instrumentsPCTurntablesDrum machine,Vocal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12:39
Country Pop
 
Country Pop은 1970년대 이후 컨트리와 pop이 혼합된 스타일로서 컨트리차트와 팝차트에 동시에 올랐거나 오를 수 있는 음악형태를 말한다.
1960년대에 프로듀서 Chet Atkins등이 내슈빌사운드를 만들어내었을 때 컨트리음악은 컨트리차트는 물론 팝차트에도 오를 수있는 잠재력을 보여줬고,그 결과 내슈빌사운드는 컨트리음악을 거대한 산업으로 바꾸어 놓게 되었다.하지만 복고주의적인 Bakersfield Sound와 자율을 강조하는 outlaw country의 저항을 받으며 내슈빌사운드는 오래 버티질 못했다.
그러다가 70년대에 와서 다시 컨트리팝이 부활하기 시작하였는데, 컨트리아티스트들이 팝음악을 받아들이면서 시작되었던 것이 내슈빌사운드라고 한다면, 컨트리팝은 팝아티스트들이 컨트리음악을 수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있다.즉  Anne Murray,Glen Campbell, John Denver, Olivia Newton-John등 팝아티스트들이 컨트리 성향의 팝음악을 내어놓으면서컨트리팝은 부활하게 되었던 것이다.
캐나다 출신의 Anne Murray는 1970년에 "Snowbird"를 발표하여 캐나다 컨트리차트 1위,팝차트2위를 차지한 바 있고,"Danny's Song"(1972),"A Love Song"(1973년),등 잇달아 컨트리팝 곡을 힛트시켰으며,1978년에는"You Needed Me"를 발표하여 미국 팝챠트1위,컨트리챠트5위를 기록하였고, "WinteryFeeling", "I Just Fall in Love Again"(1979),"Just Another Woman in Love"(1984),등 수많은 컨트리팝 힛트곡을 발표하였다.
 
호주의 pop singer였던 Olivia Newton John은 미국으로 건너와서 1974년 컨트리성향의 "Let Me Be There"를 발표하여 팝차트6위,컨트리차트7위에 올려놓고,그레미 최우수 여성보컬상을 받으며 컨트리팝을 주도했는데,"If you love me,let me know","Banks of the Ohio","Please Mr.Please"등의 힛트곡을 이어서 발표하였다.
 
1975년에는 무려 6곡이 컨트리차트와 팝차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였는데,"Rhinestone Cowboy"
(Glen Campbell),"Thank God I'm a Country Boy" 와 "I'm Sorry"(John Denver),"Another Somebody Done Somebody Wrong Song"(B.J. Thomas),"Before the Next Teardrop Falls"(Freddy Fender),
"Convoy"(C.W. McCall)등이다.
 
1977년에 Kenny Rogers는  "Lucille"을 힛트하였으며,이어서 "Daytime Friends", "The Gambler", "Coward of the County"등 컨트리팝을 발표하여 힛트하였고,
전통컨트리뮤지션이었던 Dolly Parton 역시 1977년부터는 "Here You Come Again","Two Doors Down","Heartbreaker"(1978),"Baby, I'm Burning" (1979), "Starting Over Again" (1980) 등 컨트리팝 곡을 힛트하였고,"9 to 5"는 1981년에 컨트리챠트와 팝챠트 모두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1983년에는 Bee Gees의 Barry Gibb이 만든 "Island in the stream"을 Kenny Rogers와 함께 불러 팝 및 컨트리차트 1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1980년에는 영화"Urban Cowboy"가 흥행하면서 사운드트랙 앨범에 수록되었던 "Lookin' for Love"(Johnny Lee),"Stand by Me"(Mickey Gilley),"The Devil Went Down to Georgia"(Charlie Daniels Band),"Could I Have This Dance"(Anne Murray), "Love The World Away"(Kenny Rogers)등의 컨트리팝 음악이 큰 호응을 얻었다.  


.Nashville Sound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까지 감성적인 컨트리와 세련된 팝을 혼합한 음악으로서 각 레코드사에 소속된 전문 섹션뮤지션들,이른바 "The Nashville A-Team"이 연주하는 정교하고 세련된 음악에다가  부드러운 팝보컬로 장식한 컨트리음의 한 스타일을 말한다.(Countrypolitan이라고도 함)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컨트리음악에 있어서 홍키통크 스타일이 지배하였던 1940년~50년대에는 팝음악에 있어서는  로큰롤이 크게 유행하게 되어 젊은 컨트리팬들을 로큰롤에 빼앗기게 되었는데,
이에  위기를 느꼈던 내슈빌의 RCA와 Columbia등의 레코드사 스탭들은 리듬 중심의 거칠고 투박한 홍키통크를 지양하고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기 위하여 홍키통크에서 사용되었던 날카로운  피들과 스틸기타를 세련된 스트링 섹션과 부드러운 백그라운드 보컬로 교체하고 비음의 보컬을  팝보컬로 바꾸어 내슈빌 사운드라는 새로운 컨트리음악 스타일을 개척해 내게 되었다.프로듀서 Chet Atkins,Owen Bradley,Billy Sherrill등에 의해 개척된 내슈빌사운드는 다양한 계층의 청중들을 끌어들임으로써 상업적 공백기로 부터 컨트리음악의 화려한 부활을 가져왔으며 내슈빌을 중심으로 컨트리음악을 거대한 산업으로 바꾸어놓게 되었다.
내슈빌사운드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섹션뮤지션은 피아노Floyd Cramer,베이스Bob Moore,
기타Harold Bradley,드럼Buddy Harman등이며
대표 아티스트로는 Patsy Cline, Jim Reeves,Tammy Wynette,Charlie Rich등을 들 수있다.
대표곡으로는 I Fall To Pieces(Patsy Cline),D-I-V-O-R-C-E(Tammy Wynette),The end of the world(Skeeter Davis),Last Date(Floyd Cramer),Make The World Go Away(Eddy Arnold),Country Girl(Dottie West),Funny Way of Laughin'(Burl Ives)등이 있다.               




google.com


www.allmusic.com/


http://www.savingcountrymusic.com/


http://www.discogs.com/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12:25
Country Rock
 
Country Rock은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에 걸쳐 컨트리에 록을 결합시킨 혼합장르를 일컺는다.
British Invasion(미국 챠트를 휩쓸게 되는 Beatles등 영국 뮤지션들의 대거 유입)이후인 1960년대 말 미국에는 Elvis시대의 초기 Rock n' Roll에 대한 향수가 짙어져 가면서 내슈빌이 만들어 내는 컨트리음악에 흥미를 잃어가고 있었는데,Rock스타일의 컨트리음악은 이러한 상황하에서 출현하게 되었다.
한 장르에 대한 기원을 한,두개의 앨범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파악하는 것은 흔한 경우가 아니지만,Gram Parsons가 그의 "International Submarine Band"와 함께 발표한 앨범"Safe At Home(1968년)"을 컨트리록의 효시로 보고 있다.
이어서  파슨스의 컨트리음악적 취향과  그룹 "The Byrds"(역시 파슨스가 소속된 그룹임)의 포크록 성향이 융합된 앨범"Sweetheart of the Rodeo"가 출시되었고,다음 해인 1969년에는 파슨스의 밴드"Flying Burrito Brothers"가 앨범"The Gilded Palace of Sin"을 발표하여 컨트리록의 전통을 이어갔다.
그리고 Eagles, Poco,Commander Cody, Allman Brothers, The Marshall Tucker Band 역시 컨트리록 성향의 음악을 발표하였으며 Rolling Stones의 곡 "Wild Horses" 및 "Honky Tonk Women"등 또한 컨트리록으로 분류된다.
70년대를 통하여  플로리다주의 잭슨빌에서 결성되었던 "Lynyrd Skynyrd"와 "Molly Hatchet"
같은 Southern Rock 밴드들이 그들의  블루스와 비음이 섞인 컨트리를 혼합함으로써  컨트리록을 이어갔으며,Alabama, Hank Williams, Jr., Keith Urban, Shania Twain, Garth Brooks, Dwight
Yoakam, Steve Earle, Rosanne Cash 및 Linda Ronstadt등 역시 컨트리음악에 대하여 Rock성향을 강화시켰다.
 
앨범Safe at Home - "Millers Cave", "Blue Eyes", "Knee Deep in the Blues",
앨범Sweetheart Of The Rodeo - "You Ain't Going Nowhere", "Life In Prison","Lazy Days"
 
*Eagles  - "Tequila Sunrise", "Lyin Eyes", "Peaceful, Easy Feeling", "Take It To The Limit", "The Girl From Yesterday","Twenty One"
 
*Linda Ronstadt  - "Blue Bayou", "Rock Me on the Water", "Tumbling Dice", "He Darked the Sun","Maybe I'm Right", "Old Paint",
 
*Poco -  "Bad Weather", "Fools Gold","Just For Me And You", "Just in Case It Happens",
 
*Rolling Stones - "Wild Horses(1971), "Honky Tonk Women"                                                                      
 

http://en.wikipedia.org/wiki/Country_rock


www.allmusic.com


amazon.com


www.discogs.com


http://www.savingcountrymusic.com/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11:01


http://en.wikipedia.org/wiki/Country_rap



http://www.youtube.com/watch?v=RtQJ9fqdV28


http://www.discogs.com/


http://www.countryrapsavingcountrymusic.com/


http://www.hickhopnation.com/tag/country-rap/



믹스테입도 있고 트위터에 올리는 사람들도 있고 


..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8. 00:04

country music

 

미국 백인 민요라고 할 컨트리 음악은 과거 70년대

 

 국내 가요에 주종을 이룰 만큼

 

 당시에는 커다란 인기를 모은 바 있다.

 

 


컨트리 뮤직은 촌사람들의 음악, 시골음악이란 뜻이지만

 

대중음악분야에서는 구체적으로 미국 백인들의 전통음악을 말한다.

 

 

20세기 100년 동안 미국 백인들이 주도한 음악으로는 '스탠더드 팝'과

 

본래는 흑인 연주음악이나 백인들이 더 강세를 보인 '재즈'가 있다.

 

 

하지만 두 음악은 결코 민초들의 구전(口傳)에 의한 음악

 

이를테면 민요라고 할 수 없다.



스탠더드 팝과 재즈는 아메리카 대륙이 발견된 후

 

유럽에서 건너온 백인 이주민들 가운데서

 

 

공식적으로 음악교육을 받았거나 클래식 음악의

 

연주경험이 있는 사람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반면 컨트리 뮤직은 백인 이주민들 가운데

 

하층계급이나 민초들에 의해

 

미국이란 새로운 환경에 맞춰 정착된 것이다.

 

 

말하자면 백인민요가 되는 셈이다.

 

 

그래서 컨트리 뮤직은 미국 흑인민요인

 

블루스와 인종적으로 정반대에 위치한다.

 



18세기에 스코트랜드 아일랜드 웨일스 그리고

 

영국 등지에서 이주해온 궁핍한 백인들은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턴 등

 

상대적으로 부유한 동부의 대도시로 정착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이들은 주로 동부 애팔래치아 산맥 지역 주변에 모여 살았고

 

따라서 컨트리는 처음에는 유럽에서 그들이 불렀던 것과 유사하다고 해서

 

'친숙한 노래'(familiar tunes) 또는

 

 

산(山)지역사람들의 노래라고 해서

 

'마운틴 뮤직'(mountain music)으로 통했다.

 



이 용어는 19세기 말에 와서 힐빌리(hill-billy)란 이름으로 불렸으며

 

이때까지는 아직 매스 미디어와 대량복제기술(음반)이 가해지지 않은

 

전형적인 민요의 상태였다.

 

 

그러나 1920년대 들어서는 마침내 미국 전역에 라디오와 음반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음악으로 변모했다.

 



이 무렵 랄프 피어(Ralph Peer)라는 이름의 음반제작자는

 

 '민요 컨트리'가 '대중음악 컨트리'로 탈바꿈하는데

 

누구보다도 크게 기여했던 사람이었다.

 

 

 그는 '블루 요들' 시리즈로 일세를 풍미한 지미 로저스(Jimmie Rodgers)와

 

미국형의 새로운 컨트리를 연주한 카터 패밀리(Carter Family) 등

 

컨트리 음악의 전설을 발굴했다.

 



여기서 요들(yodel)이란 용어가 말해주듯

 

유럽의 민초들이 즐겨 불렀던 요들이

 

미국으로 건너갔음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현악(string)밴드의 성격이 강했던 컨트리의 주요악기가

 

 피들, 하프, 루트(옛 기타)등 아일랜드와 스코트랜드의 토속악기라는 것도

 

 '유럽에서 미국으로'의 증거가 될 것이다.

 

 

나중에는 여기에 밴조, 도브로(기타의 일종), 만돌린, 그리고 스틸 기타가 더해져

 

오늘날의 특징적인 컨트리 음악 사운드가 만들어졌다.

 



민초들의 바이올린이라고 할 수 있는 피들(fiddle)은

 

 빠르게 줄을 켜면서 컨트리 특유의 흥을 내며,

 

 

 역기 컨트리 음악에서 자주 들리는 '우는 듯한' 기타소리는

 

 앉아서 연주하는 좌판형의 스틸 기타(steel guitar)의 몫이다.

 

 

'두 악기가 없다면 컨트리도 없다'는 말이 나올 만큼 피들과 스틸 기타는

 

요즘에도 컨트리 사운드의 색깔을 띠는데 필수적인 악기로 통한다.

 



1930년대 후반에 컨트리라는 용어가 정착되었고 음악의 종류도 많아졌다.

 

 

빌 몬로를 선조로 하는 전기 증폭음 이전의

 

남부지역의 블루그래스(Bluegrass),

 

 

스윙재즈와 결합한 스타일로

 

캐나다 남부 아카디아 지방사람들의 웨스턴 스윙(Western swing),

 

 

남부 루이지애나의 프랑스어를 구사한 사람들에 의해 정착된 케이준(Cajun),

 

 

 '컨트리 앤 웨스턴'이란 말을 낳으며

 

1940년대 영화까지 석권한 카우보이 송(Cowboy song)

 

 

술집과 무도장에서 유행한 일렉트릭 기타 주도의

 

빠른 홍키통크(honky-tonk) 등

 

 

 지역과 풍속에 따라 여러 갈래를 치며 대중들에게 파고들었다.

 

 

이들 컨트리 음악 중에서 서부개척을 상징하는

 

말달리는 카우보이의 이미지는

 

오랫동안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되었다.



'그랜드 올 오프리'(Grand Ole Opry)도

 

컨트리 뮤직과 관련해 빼놓을 수 없는 용어이다.

 

 

 컨트리의 본향(本鄕)이라고 할 내시빌 지역의 방송국인 WSM의 프로그램으로

 

주말이면 컨트리 가수가 다수 출연하는 공개방송무대를 갖는다.

 

 

1925년에 시작되어 카터 패밀리, 어네스트 텁, 행크 윌리암스 등 컨트리의 역사를

 

수놓은 모든 스타들이 이 프로를 거쳐간 명실상부한 컨트리 스타의 산실이다.

 

 

공연 분위기는 우리의 '가요무대'를 연상하면 된다.



그랜드 올 오프리는 방송혜택이 전무했던 블루스와 달리

 

백인음악이란 덕분에 컨트리가 미디어를 통해

 

일찍이 대중화 상업화되었음을 말해준다.

 

 

부언하면 그랜드 올 오프리에 의해 컨트리는

 

시골의 민요에서 벗어나 도시의 대중음악으로 뻗어간 것이다.



아울러 그랜드 올 오프리를 컨트리와 동격으로 만들어낸

 

내시빌에 대한 지역사람들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이 곳에는 컨트리의 명예전당, 공연장, 전문 레코드사,

 

스튜디오, 음악협회 등 컨트리의 모든 것이 집결해 있다.

 

 

내시빌 현지에서 만난 컨트리음악협회의 홍보이사 제프 그린은

 

컨트리 음악에서 내시빌이 갖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 도시 중에서 바로 음악을 연상시키는 도시가 어디 있습니까?

 

뉴욕이나 시카고도 역사적으로 음악이 강한 도시지만

 

사람들은 먼저 거대도시를 생각합니다.

 

 

그러나 세계인 누구에게도 내시빌하면 '아, 컨트리 음악!'하며

 

바로 컨트리를 떠올리지요.

 

내시빌과 컨트리는 이제 같은 말이 됐습니다."

 



내시빌을 중심으로 확산된 컨트리 음악은

 

1950년대 등장한 로큰롤의 밑거름이 되기도 했지만

 

폭발적인 로큰롤의 기세에 눌려 한때 고전을 면치 못했다.

 

 

하지만 재빨리 로큰롤과 팝의 요소들을 받아들이면서 추세를 따라잡아

 

 대중음악 전선에서 퇴각을 당한 적은 없다.

 

 

1970년대에는 로레타 린, 태미 와이네트, 멀 해거드 등

 

불세출의 컨트리 스타들이 나와

 

대중들의 아낌없는 사랑을 받았으며

 

 

1980년대 초반에도 케니 로저스,돌리 파튼, 에디 래비트, 알라바마 등이

 

활약하여 다시 전성기를 누렸다.

 



근래에도 '컨트리의 마이클 잭슨'이라는 가스 브룩스,

 

'컨트리의 스파이스 걸'격인 딕시 칙스,

 

백스트리트 보이스보다도 더 많은 앨범 판매고를 수립한 샤니아 트웨인 등

 

 

 슈퍼스타가 잇따라 출현해

 

 또다시 중흥기를 맞고 있다.

 

 

백인의 전통음악이라는 유리함 때문에 미국사회에서 잊혀질 때면

 

다시 고개를 들고 살아나 위력을 뽐내고있는 것이다.

 



한국에서 컨트리는 어떠한가. 지금은 컨트리 색채가 있는 음악을

 

좀처럼 듣지 않으려고 하지만

 

과거에는 가요의 맹주역할을 했다.

 

 

그만큼 컨트리는 국내 가요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포크시대였다는 1970년대에도 통기타로 연주되었을 뿐

 

실은 포크보다도 컨트리 스타일이 더 많았다.

 



예를 들어 조영남이 불러 유명한 '내 고향 충청도',

 

윤항기의 '노래하는 곳에',서수남 하청일의 '서울 구경'은

 

모두 미국 컨트리 송을 번안해 부른 노래였다.

 

 

트위스트로 알려진 1961년 한명숙의 '노란 셔츠의 사나이'의 전주도

 

피들이 주도하는 컨트리음악 형식을 취하고 있을 정도다.

 

 

 가요관계자들은

 

 "포크는 단순한 가사의 나열로

 

 멜로디가 부각되지 않는 반면

 

 

 컨트리는 경쾌하고 낭만적인 선율패턴과 리듬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훨씬 한국인의 정서에 맞았다"고 설명하고있다.

 

[출처] country music의 어원|작성자 무무


kkkkkkkkkk

http://en.wikipedia.org/wiki/Country_music

http://country-music-archive.com/

allmusic.com

discogs.com

archive.org

worldcat.org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7. 23:48

블루스.

 

블루스는 전통과 개인적 표현에 관한 것이다. 블루스의 핵심은 지금까지도 이전과 똑같이 남아있는데, 블루스가 시작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블루스의 특징은 간단한 -대개 3코드-진행, 그리고 끝없는 즉흥연주를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들이다. 즉흥연주는 서정적이며 음악적이다. 블루스는 아프리카 정서와 노동요에서 나왔다. 1800년대 후반, 남 아프리카-아메리카인들은 노래를 구전했고, 이 노래들은 아팔라치인들의 미국 포크-컨트리 음악과 결합했다. 각 분야에서 새로운 혼합물들이 각기의 분야에서 생겨났다. 그러나 녹음된 블루스는 1900년대 초반이며, 간단한 시골 풍의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로 이전과 구분된다. 2차대전 이후에, 블루스는 세분화되기 시작했다. 어쿠스틱 기타의 전통을 갖고 있는 뮤지션들이 있었고, 다른 뮤지션들은 좀 더 재지한 영역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블루스맨들은 머디 워터스를 선봉으로 일렉기타를 연주했다. 이 시기부터, 블루스는 일렉기타를 중심으로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하던가, 어쿠스틱 기타의 전통을 지키게 된다.

jjjjjjjjjjjjjj


컨트리 블루스.

 

컨트리 블루스라는 용어는, 처음 등장한 기타 위주의 블루스(솔로, 듀오나 현악 밴드 연주자가 있는 경우를 포함) 이후에 등장하는 모든 용어의 깊이와 너비를 포함한다. 이 용어는 또한 여러 지역적인 스타일과 변형을 대표해서 말하기에 편리한 용어다. (피에드몬트, 애틀란타, 멤피스, 텍사스, 어쿠스틱 시카고, 델타, 래그타임, 포크, 송스터 등) 이는 어쿠스틱 기타의 다수 주법들, 정교한 핑거피킹에서 초기 스라이드주법까지 다수 포함하는 주요 장르다. (하지만 독점적으로 컨트리 블루스에만 나타나는 특징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트닝홉킨스나 존 리 후커같은 몇몇 컨트리 블루스 연주자들은 나중에 일렉 기타로 바꾸며 급격한 변화나 스타일의 변화가 없었다




http://en.wikipedia.org/wiki/Country_blue


discogs.com


http://www.folkways.si.edu/


http://www.cdbaby.com/


youtube.com


www.amazon.co.uk



http://www.thecountryblues.com/


http://www.bluesprofiles.com/


Traditional - http://www.worldcat.org/ 



http://www.allmusic.com/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7. 22:56

에두아르도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I. 서언

 

19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corrido는 진정 의미있는 사회적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문맹인들에게는 듣는 신문이 되어주었고매스미디어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들에겐 뉴스(소식통)가 되어주었다. Corrido는 당대의 사건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었다행상인들은 희대의 사건들을 노래하며 시장에서 시장으로마을에서 마을로 전국을 떠돌았고이것이 이야기로 만들어지고 기록되고 노래로 불리게되었다그들 중 일부는 노래와 이야기로 전해진 사건들의 증인이었기도 했으며 그 담화에 짜임새와 흥미를 더욱 가미하기도 했다멕시코corrido는 거침없고 경쾌하다는 점에서 스페인의 안달루시아 로망스나 안달루시아 corrido와 깊은 관련이 있다.


 corrido는 늘 로망스와 함께 하던 스페인인들이 멕시코 해안에 도착한 것과 관련이 깊으며스페인인들의 이러한 시(민요)와 노래들은 주로 정복된 땅에서의 삶을 다루는 내용이었고 이는 멕시코인들의 사고와 취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초기의 corrido는 전쟁 중 혹은 전쟁 직후에 생긴 연유로 구두로 전해져왔다. Corrido의 공연은 대략 10분정도 였으며공연이 끝나면 관중들은 대부분 수고료를 주지 않기 위해 흩어지듯 그 자리를 피해버렸다이 때문에 역사를 이야기해주며 사는 사람들은 얼마의 수고료을 얻기 위해 이야기를 인쇄하여 1센트에 팔기도 하였다종이에는 corrido의 내용과 함께 엉성하게나마 그림을 넣었다내용은 간단한 산문으로 쓰여졌는데 처음에는 화자에 따라 독자적이었으나 후에는 8음절 10행시나 8음절 4행시로 유행하게 되었다그리하여 오늘날의 corrido 형태를 갖게 되었다.전반적으로지면에는 인쇄소의 주소는 기재되어있었으나 지은이의 이름은 기재되지 않았다이렇게 corrido를 보존하는데 성공한 것이다그리하여 멕시코의 전통을 계승 전파하며 비판충고해 주면서 교훈을 재확인하는 대중적인 표현이 된것이다.


현재 새로운 시기에 접어들어 corrido의 인기는 상업적 판매에 있어서 두드러지고 있다음반사는 TV나 라디오를 비롯해서 corrido 작곡가 그리고 음악 그룹들을 널리 홍보하고 있다.

 

 

II. Corrido의 운율과 구성

 

Caterine Hav에 의하면 corrido는 모든 나라의 구술문화로 특징지어지는 설화체-음악 장르에 속한다결론적으로우리는 구체적이면서도 대범하게 일어나는 사건들을 뒷받침하고 소박하고 간결하게 늘어놓은 서사문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로망스-corrido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20세기에 이르러 멕시코 서정시에 가장 중요한 장르로 바뀌며 더욱 확실하고 아름답고 여유롭게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Vicente Mendoza 1800-1850년 사이에 8음절 4행시로된 민요가 무수히 작곡되었다고 한다그러나 그것은 corrido의 서술시나 서사시풍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고 풍자적이거나 탐색적 혹은 종교적 민요였다그리고 이는 마데리스따(Maderista) 혁명 전쟁시 사실상 독립적 형태를 갖고 발전하며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Mendoza, 1954: XIV-XV) 그러나 멕시코의 corrido는 단지 멕시코의 음악 문화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Corrido가 비록 글로 되어있지 않고 어떤 부분은 상상에 의한 것이긴 하지만 이것은 문학이며 우리 국민적 정체성의 작용과 특성에 대한 내용이므로 얼버무려 버릴수 없는 것이다우리는 corrido에서 우리의 역사와 관습은 물론우리 토착어의 관용구도 찾아 볼 수 있다.


Vicente T. Mendoza
 corrido에 대해서 corrido는 스페인 로망스에서 직접적으로 전승되었을뿐만 아니라우리 땅으로 옮겨 전해지면서 더욱 발전된 것이다?라고 말한것과 반대로 우리는 이것이 우리만의 목소리이자 메스띠조 문화의 한 장르라는 것을 알 수 있다그것은 연출 방식이나 그 내용 자체에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멕시코의 corrido는 서정시-서사시-설화체의 한 장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멕시코 혁명이 일어난 당시 발생된 커다란 사실들을 문맹인들에게 전해주는 유일한 원천지 역할을 하였다또한 corrido romance, ejemplo, maani_ tas, 역사추억비극시와 민요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분되었다이토록 형태는 음악 형식에서만 파생된 것이 아니라 어떠한 내용을 다루었느냐에 의해서 구분되었던 것이다.


Corrido
는 완전히 대중적인 장르이며 국민들의 감정을 나타내었다그 실례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관중들에게 역사를 노래해 주기 위에 허락을 요청.

노래를 부르기 전에 먼저 허락을 부탁합니다;

여러분, Benjamin Argumedo의 마냐나스 입니다.

                                        (De Benjamin Argumedo, 발췌)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이야기의 진실성을 전한다.

 

614

여러분귀 기울여 주세요.

과달라하라에서 아주 무서운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De la catastrofe de Oblatos, 발췌)

 

주인공에 대한 묘사

 

매우 예뻤던 Cuquita,

꺽고 싶은 한송이 장미와 같았고 줄기도 길어서 꺽기도 좋겠네.

 

매우 예뻤던 Cuquita,

천사같은 얼굴을 하고서 아무에게나 준다네식은죽 손으로 퍼주듯.

                                        (De Cuca Mendoza, 발췌)

 

성모 마리아에게 하는 기도

 

나의 어머니 과달루뻬 성모여!

저를 지켜 주세요죽거나 이길때까지 무기를 들지 않게 해주세요.

                                        (De Demetrio Juregui, 발췌)

 

도덕적 격언

 

소녀들이여너희에게 부탁 할 때 거절하지 말아 주세요.

왜냐하면 Juanita Alvarado의 목숨이 위험해지니까요.

                                        (De Juanita Alvarado, 발췌)

 

 

많은 경우 시로 시작되는 마지막에 등장하는 작별부분

 

날아라비둘기야 날아라.  저는 여기서 물러납니다,

전쟁에 대한 기억이었으며 De Santurnino La Perra는 여기서 끝이 납니다.       

                                                     (De Santuario La Perra, 발췌)

 

날아라비둘기야 날아라저 묘지로 날아가거라.

Micalita가 사랑하는 Simn과 함께 있는 곳으로.

                                                     (De Micaila, 발췌)

 

어느 말 한마리에 대해서

 

잘 생겼던 나의 말 가장 충실한 나의 친구였고 시원스런 빛줄기 같았던 아주 훌륭한 말이었다.

                                        (El cantador)

 

농촌 문제에 대한 비평과 장난기

 

저 한 귀퉁이의 땅 느슨해진 소를 몰고 씨를 뿌렸다멍에 고리는 부러졌어도 소들은 그냥 걸어가네.

                                        (El Barzon)

 

카우보이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가는 것과 같은 일상 생활의 오락

 

북아메리카의 불모지에서 총구로 서로 맞섰다.

경찰과 도둑들 Tom Mix, Buck Jones, Bill Boyd, Tim McCoy.

                                        (Dos horas de balazos)

 

남매간의 근친상간에 대한 이야기

 

그들은 남매임을 알지 못했네사랑하고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사랑을 나누는 남매는 없는 법

그것은 그의 운명이었고 운이었으니....

                                        (La hija de nadie)

 

아버지의 저주

 

나의 사랑하는 아들아방금 네가 한 말 때문에 해가 뜨기 전에 너의 삶은 끊어질 것이다.

                                        (El hijo desobediente )

 

Corrido 1인칭이나 3인칭에 대해 이야기하며 거의 항상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목격자나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담화자에 의해 유창하게 전개된다대화가 존재하지 않으나 존재할 경우에는 로망스와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1인칭 :

             내 상세히 말해주리다내게 일어났던 일들을 그들은 나를 잡아 감옥에 넣었다오.

             언제나 그랬듯이 말이오.

                                        (De Cananea, 발췌)

            

대부분이 3인칭 :

             그의 장군이 병영 문에서 그에게 말하기를 Macario, 너는 죽임을 당할 것이다.

             그 쓸모없는 여자 때문에.

                                        (De Macario Romero, 발췌)         

 

전반적으로 corrido 4행으로 연을 구성한다음절은 매우 다양하여 스페인 로망스의 경우에는 5음절에서 20음절까지 있다그리고 연 수도 다양하다. "Toma de Zacatecas" corrido 78연으로서 312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Jos Alfredo Jimnez의 백마의 corrido에서는 12음절로 이루어진 4행시를 볼 수 있다.

 

Es-te es -el co-rri-do -del -ca-ba-llo -blan-co, (12) que un -d-a -do-min-go -fe-liz -a-rran-ca-ra; (12) i-ba -con -la -mi-ra -de -lle-gar -al -nor-te, (12) ha-bien-do -sa-li-do -de Gua-da-la-ja-ra. (12)

 

Corrido의 문학적 형태는 항상 4행이나 6행 또는 8행 등의 연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가장 흔한 것을 스페인 로망스처럼 8음절의 4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Corrido 음악은 거의 장조로 이루어져 장난스러우면서 흥겹고 들떠있고 생동감 있어 끊임없이 흐르듯 노래한다.

 

비극적이고 열정적인 corrido는 멕시코인들의 남성우월주의공격성여성 경멸삶과 죽음에 대한 무관심 등 심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Corrido는 여러 책에서 다루는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분되어지는데 그 중 한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역사에 관한 corrido 혁명에 관한 corrido Cristera 혁명에 관한 corrido 농민파 운동에 관한 corrido 정치에 관한 corrido 서정적 corrido 총살에 관한 corrido 용감한 혁명가에 관한 corrido 악당에 관한 corrido 감옥에 관한 corrido 학대암살에 관한 corrido 저주에 관한 corrido 불운에 관한corrido 열정적인 비극에 관한 corrido 사건과 참패에 관한 corrido 말에 관한 corrido 투우사에 관한 corrido 여러 도시에 관한 corrido

 

 

III. 꼬리도의 역사

 

멕시코의 corrido 20세기 초 20년간에 걸쳐 절정기에 이르렀는데 이는 멕시코 국민들이 생각하는 혁명의 원인과 결과를 분명히 드러낸corrido에 의해 이뤄진 것이며 대표적인 인물로는 corrido 자체, Francisco I. Madero, Emiliano Zapata, Pancho Villa, Venustiano Carranza, Catalino Maravillas, ( Benito Canales, Felipe ngeles 등이 있으며이를 비롯한 다른 혁명가들로는 Ignacio Bernal , Panfilo Natera , Lucio Vazquez 등이 있다또한 두드러진 사건의 내용은 모두 위에 열거한 인물들의 멕시코 혁명에 관한 것들이었다 : Los Combates de Celaya , la Toma de Zacatecas , Guerra Cristera (Plutarco Elias Calles Lazaro Cardenas를 대표로하여 기독교 신앙을 보존하려한 카톨릭 천주교 운동가들은 모임을 갖고 1917 (De Tepatitlan a. y b.)에 만들어진 헌법을 지켜나아가던 운동), Cristeros와 농민파 (106), Dulces Nombres습격, 30년대의 corrido는 무장한 단체들의 사상과 입장을 알려나가는 효율적인 수단이었다또한민속학자들에 따르면 이 시기에 corrido가 황금시대를 마지막으로 장식했다고 전해진다대표적인 혁명가들의 말을 노래한 corrido가 있는데 그중에는 El Caballo Blanco, El Leguas, Caballo Alazan Lucero, La Yegua Colorada가 있었다또 다른 corrido는 전투를 노래한 것이었는데 : ( 쎌라야 전투사까떼까스 점령과 장군이나 용감한 군인들과 관계를 갖는 여자 ; 전투를 하는 군인들과 성모 마리아를 숭배하고 믿으며 그들의 corrido에 커다란 도움을 기대했으며 그 중에는 La Adelita, La Valentina, Modesta Ayala , La Guera Chabela 가 있다그들이 운반하던 기계에 대한 corrido가 있으며 (, 마을이나 멕시코 주에 대한 칭찬 , San Luis Potosi, corrido de Mazatlan , ¡Que lindo es Michoacan! 등이 있다.


1930
년부터 70년대의 corrido는 꾸며지고 날조되어져 시원스러움과 독창성을 잃거나 성공하지 못한 혁명에 대한 것을 모방했으며정치인들과 조작된 애국투사들을 찬양하는데 쓰여졌다그리고 70년대 중반에 접어들어 밀입국자 및 미국과의 국경지역의 마약밀매와 같은 범죄행위들을 주제로 하는 corrido가 형성되는데미국에 거주하는 멕시코 이민자들의 상황과 업적을 다루기도 하고 또 이민자들의 무덤또 다른 멕시코미국의 남부지역 주에서 활동하는 소규모 마피아들의 위업을 다루기도 하였다여기서 마약밀매와 배신에 대한 corrido가 만들어지게 되며 그 중에는 빨간 차의 악당? (18-222), 밀매와 배신? (19-97)과 새로운 밀매? (21- )가 있다등장인물들은 항상 멕시코인들이나 치까노들로서법을 지키지 않으며 다른 corrido에서는 국민들의 존경을 받을만한 이상적인 혁명가들이나 착한 도적들?을 제쳐놓는 인물들이다.


"Emilio Varela", "Camelia La Texana"? 
또는 "Lino Quintana"?는 널리 알려진 허구의 밀매업자?들의 이름들로써 corrido의 새시대에 해당된다이러한 새로운 주제의 노래는 격언으로써 혹은 이야기로써 이 장르에 변화를 주었다현재의 corrido는 거의 대부분이 불법 마약 밀매업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그래서 이것을 narcocorrido라고 부르게 되었다
Narcocorrido
는 옛날에 corridos de gavilleros를 현대적인 해석으로이 착한 밀매업자?를 다룬것이며 단현재의 등장 인물들은 불법 마약 거래와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란 것이다이렇게 밀수업자들과 그에 관련된 corrido가 영웅적인 혁명가들의 자리를 가로채게 된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narcocorrido corrido에 포함되었을까어떻게 밀매업자들이 그들의 용기로 인해 칭찬과 존경을 받는 것일까끈질기고도 격렬한 개인사를 묵인해 주는 듯 그들의 이야기는 듣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Narcocorrido가 범죄에 대한 표본임에도 불구하고 노래와 춤으로 사교모임에 등장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Narcorrido
는 삶의 방식과 관습철학의상남자다움에 대한 열광 그리고 마약 밀매인들의 윤리를 노래한다또 화제가 되었던 노래 가사의 또 다른 것은 배신자무기짐을 실은 여행?에 대한 모험법에 대한 조롱카르텔이나 비즈니스와 공무원들의 연류 등에 있다.

 

나는 법에서 벗어나,

밀매업을 하는데,

나는 가난하게 살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며

게으르지도 않다.

나는 나의 운을 떠보고 싶었고

이미 그것을 입증해주었다.

 

이 곡은 의심할 여지 없이 마약 밀매업자들을 주제로하여 대중 음악과 민속 음악 사이에서 히트가 되었다또한미국에서는 치카나 (멕시코계 미국인교민 사회에서 narcocorrido musica grupera(그룹음악)" "Tex-Mex"의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우리는 그곳에서 Los Tigres del Norte (북쪽 호랑이)?라는 북부지역 음악 그룹에 의해 "마약밀매와 배신빨간차의 악당?과 같은 마약밀매자들에 관한 corrido가 탄생된 것임을 되새겨 볼 수 있다.




posted by 人心ㅇ
:
카테고리 없음 2014. 6. 7. 22:50

쿨 재즈
Cool Jazz
 
서두
 
_“쿨 재즈”란 용어는 찰리 파커와 디지 길레스피의 밥보다 더 부드럽고 따라가기 쉬운 경향의 모던 재즈를 지칭한다. “쿨 재즈”는 사운드의 거칠음과 쇳소리를 배제한다. “쿨”의 경향을 띤 음악 활동을 했던 뮤지션들은 대개 레스터 영과 카운트 베이시의 영향을 받았다. 가령, 스탄 겟츠와 마일스 데이비스는 종종 “쿨”로 분류되고, 모두 레스터 영의 영향을 받은 뮤지션들이다. 모던 재즈 쿼텟의 미묘하고, 실내악과 같은 특징을 “쿨”이라고 불려온 게 사실이다. 하지만 우연하게도, 이러한 “쿨”이란 용어는 재즈 뮤지션들 사이에선 그다지 많이 통용되지 않는다. 사실, 몇몇 연주자들은 자신들의 음악을 누군가 설명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듣는다면 별로 유쾌하지 않게 생각한다. 바꿔 말해서 부분적인 의미로는, 그들의 연주에 힘이나 정열적인 면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실제 재즈 뮤지션들은 이러한 용어들 즉, 밥이나 쿨, 또는 하드 밥이니 하는 음악적 분류 자체에 얽매이려 들지 않는다. 이러한 분류는 오직 감상자들에게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한 도구일 뿐 절대적 의미와는 무관함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쿨 재즈”는 널리 쓰여진 음악적 명칭이다.
_저널리스트들과 레코드 회사들은 1950년대에 이러한 “쿨 재즈”란 용어를 널리 사용하였다. 그들은 또한 그 당시 캘리포니아에 본거지를 둔 백인 뮤지션들에 초점을 맞춰 불균형한 주목을 끌게 하였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1950년대의 모든 웨스트 코스트 재즈는 쿨 재즈 또는 쿨 재즈는 웨스트 코스트 재즈라는 느낌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이 용어들은 어떤 특정한 인종이나 지역에 속한 음악인들의 작품이나 연주에 제한을 두지 않았고, 1950년대의 캘리포니아 재즈 계에는 쿨 재즈 말고도 다른 스타일의 재즈들도 많이 있었다.
_몇몇 역사가들은 밥으로부터 쿨을 구분하고, 보통 찰리 파커와 디지 길레스피의 즉흥 연주보다 더 간단하고, 부드러우며, 더욱 멜로디적이다. “쿨 재즈”라고 불려져온 음악에선 대선 멜로디와 이미 씌여진 편곡을 다소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쿨”이라고 불리는 음악의 대부분이 밥으로부터 확연히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불확실한 용어 사용에 대한 해결책으로 어떤 부드럽고, 다소 변동이 없는 스타일을 가리켜 “쿨 밥”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모른다. 그리고 만약 그 음악의 리듬, 화성, 멜로디 윤곽이 밥으로부터 나온 것일지라도 감상자들은 이러한 음악을 완화되고 압축된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_여기에 용어 사용에 대한 예증이 한 가지 더 있다: 피아니스트이자 밴드 리더인 조지 쉬어링을 어떤 이들은 “쿨”이라고 하고 다른 어떤 이들은 “밥”이라고 하며, 때론 “우아한 밥(polite bop)"이라고 불려져 왔다.
 
 
단원 요약
Chapter Summary
1. "쿨 재즈“는 모던 스타일에 적용되는 용어로서, 가볍고 건조한 음색, 적거나 또는 아예 없는 비브라토, 적은 음량과 고음의 자제 등으로 그 사운드는 다소 완화된 것이 특징이다..
2. 1950년대의 쿨 재즈는 1930년대의 레스터 영과 카운트 베이시, 1940년대의 레니 트리스타노와 리 코니츠, 그리고 1949-1950년 사이의 마일스 데이비스 9중주단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 준 클로드 손힐의 편곡 기법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3. 상당수의 쿨 재즈는 밥과 비교해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 몇몇 쿨 연주자들은 이미 이전 장(밥)에서 거론하였다.(스탄 겟츠, 조지 쉬어링, 그리고 모던 재즈 쿼텟).
4.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스탄 켄튼은 일련의 혁신적인 빅 밴드들을 이끌었으며, 어떤 것들을 클로드 손힐의 스타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5. 1950년대 켄튼의 레퍼토리는, 관악기 색소폰, 그리고 리듬 섹션을 위해 만든 20세기 클래식 음악과 유사한, 진취적인 콘서트 위주의 작품들이 포함되었다.
6. “웨스트 코드트 스타일”은 1950년대 로스앤젤레스 지역에 근거를 둔 백인 중심의 재즈 음악인들에 의해 연주된 쿨 재즈를 가리킨다.
7. 제리 멀리건, 치코, 해밀튼, 데이브 브루벡, 그리고 쇼티 로저스는 뛰어난 웨스트 코스트 밴드 리더들이다.
8. 폴 데스몬드, 아트 페퍼, 지미 쥬프리, 그리고 제리 멀리건은 뛰어난 웨스트 코스트 색소폰 연주자들이다.
9. 쳇 베이커와 쇼티 로저스는 뛰어난 웨스트 코스트 트럼펫 연주자들이다.
10. 칼 폰타나, 프랭크 로솔리노, 그리고 밥 브룩마이어는 뛰어난 웨스트 코스트 트롬본 연주자들이다.
(Mark C.Gridley, 재즈 총론Jazz Style 중)



----------------

[ 쿨 재즈Cool Jazz|작성자

k

k




hhhhhhhhhhhhhhhh

 피아니스트 맑음




http://www.allaboutjazz.com/
==
 calmradio

http://abcjazz.net.au/



http://www.jazzradio.com/

http://www.discogs.com/

google.com



youtube.com

amazon.com



http://en.wikipedia.org/wiki/Cool_jazz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ol_jazz_and_West_Coast_jazz_musicians





posted by 人心ㅇ
: